컴퓨터 음악과 미디의 차이
실용화성학 - 김상열

 

컴퓨터 음악과 미디의 차이 / 실용음악과의 전공 구분

 

 


" 컴퓨터음악과 미디는 어떻게 다른 건가요? "

 

 

 


 

안녕하세요. ^^

 

도약닷컴입니다.

 

혹시 ‘슈퍼 히트’라는 프로그램을 알고 계신가요?

오디션 프로그램의 원조 M.net에서 방영됐던 오디션 프로그램인데요! ^^

슈퍼스타K5 결승에서도 잠시 소개되었고,

이번 시즌 우승자인 박재정이 슈퍼히트에서 나올 곡을 직접 부르기도 했죠!

 

슈퍼히트와 같은 프로그램에 나가기 위해서도 그렇고,

자신만의 멜로디를 음악으로 완성시키기 위해서도 그렇고,

요즘은 컴퓨터의 도움 없이 음악을 한다는 건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닌데요. ;;

 

컴퓨터 음악 이라고 검색을 하고 알아보면 MDI, CUBASE, LOGIC 등등

도대체 뭐가 뭔지 알 수 없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실용음악과가 있는 여러 대학에서도 컴퓨터 음악과, 미디과 를 찾아볼 수는 없었는데요.

컴퓨터 음악에 관한 여러가지 궁금증을 해결하고 이해를 도와주실

김상열 선생님의 특강을 들어보세요. ^^

 

 

 

 

 

 


  

" 시퀀서의 대표 격인 큐베이스! "

 

크게 많은 분들이 궁금해 하시고 많이 오해하시는 부분이 바로

‘컴퓨터 음악과 미디의 차이’, ‘컴퓨터 음악과와 미디과의 차이’입니다.

이런 부분을 정확하게 알기 위해서는 역시

‘미디’란 무엇인가? ‘컴퓨터 음악이란 무엇인가?’ 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일단 미디는 음악을 컴퓨터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만든 신호입니다.

흔히 들어볼 수 있는 큐베이스, 로직, 소나, 누엔도 등은

미디 신호를 다룰 수 있는 툴의 이름으로 ‘Sequencer’라 불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일종 입니다.

 

 

미디 [MIDI, 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악기, 이펙터, 컴퓨터 사이에 연주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데이타 전송 규격.

 

 

 

미디는 그저 컴퓨터 용어로써 데이터 단위의 일종일 뿐인 단어였지만,

PC가 대중화되고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MIDI를 이용해 작곡을 하고 사운드를 컨트롤하는 범위와 영향력이 방대해지고

점차 MIDI를 통한 오디오 작업이 당연시 되어가면서

어느새 미디가 컴퓨터를 이용한 오디오 편집의 통칭처럼 고유명사화 한 것입니다.

 

때문에   미디 = 컴퓨터 음악   인 것처럼 되어 버렸지만,

사실은   미디 < 컴퓨터 음악   라는 것이 올바른 인식입니다.

 


 

  

" 컴퓨터 음악의 수많은 종류! "

 

 

그렇다면 컴퓨터 음악은 무엇일까요?

조금 전 미디에 대한 설명만을 떠올린다면

컴퓨터 음악 = 미디를 이용하는 음악 > 미디   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컴퓨터 음악 > 미디를 이용하는 음악 > 미디   가 정확한 형태입니다.

 

 

컴퓨터음악 [Computer Music]

작곡, 음향, 사운드 합성, 연주 등의 과정에 컴퓨터를 사용한 음악의 총칭

 

 

그렇다면 미디 이외에 어떤 방식으로 사운드를 만들어낼 수 있는지가 궁금해지실 텐데요.

특강 내용 중 선생님께서 잠시 언급하신 MAX/MSP가 대표적인 케이스입니다.

 

 

MAX/MSP

프랑스에서 탄생한 사운드 제어 프로그램.

노드방식과 알고리즘의 사용으로 디자이너와 프러그래머에 애용된다

 

 

MAX/MSP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통해 사운드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으로,

MIDI를 이용하는 시퀀서와는 전혀 다른 시스템입니다.

그 이외에도 Pure Data, Processing, VVVV, Quartz Composer, XNA 등등

생각보다 굉장히 많은 방식으로 컴퓨터상에서 사운드가 만들어 지고 있습니다.

 

물론 MIDI를 제외한 위와 같은 컴퓨터 음악의 방식들이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가요나 팝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고 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래밍이나, 신디사이저의 제작 등에 이용되거나

클래식 음악에서 ‘전자음악, 구상음악’이라고 불리는 아주 특수한 사운드를 만들기 위해 사용되기도 하는데요.

실제로도 가수의 노래를 듣기 위해 플레이하는 오디오 파일의 90%는 미디작업을 통해 만들어지게 됩니다.

 

 

전자음악 [電子音樂, Electronic Music] : 전자적으로 발진되는 음향을 소재로 하여 만들어지는 음악

구상음악 [具象音樂, Musique Concrète] : 존재하는 모든 음향을 소재로 하여 가공, 구성한 음악

 


 

  

" 컴퓨터 음악과? 미디과? "

 

간혹 미디를 공부하려고 하시는 분 들 중에서

‘컴퓨터 음악 학과가 있는 대학으로 진학을 고려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컴퓨터 음악 학과’는 실용음악이 아닌 클래식 기반의 전자음악을 배우는 곳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잘 알아보지 않고 지원하셨다가 낭패를 보시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클래식 음악은

종합대학 아래, 소위 음대라고 부르는 음악대학이 따로 존재하고

그 하위 개념으로 지휘과, 작곡과, 성악과 등으로 분할이 되어있습니다.

 

하지만 실용음악의 경우에는

하나의 실용음악과 안에서 보컬전공, MIDI전공, 레코딩전공 등의 세부 전공으로 나누어 지게 됩니다.

 

이렇게 구분 방식 자체가 전혀 다르기 때문에

MIDI를 공부하기위해 ‘컴퓨터 음악과’, ‘미디과’를 찾는 것은 잘못되었다고 말씀 드릴 수 있습니다.

 

또한 세종대 실용음악과 등에서는 CCM관련 전공이 따로 세분화 되어있기 때문에

작곡전공과, CCM작곡전공이 나누어져 있습니다.

혹시라도 자신의 종교가 어긋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 주세요. ^^;

 


 

 

지금까지 생소하게 들릴 수 있는 미디 컴퓨터 음악에 대하여 알아보았는데요. ^^

역시 뭐든지 안으로 파고 들어가면 복잡해지고 어려워지는 것 같습니다. ㅜㅜ;

 

하지만 조금만 더 신경 쓰시고 관심 가져 주신다면

언젠가 여러분이 미디에 대한 공부를 시작하실 때 많은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