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 작곡과와 작곡과의 입시 요강의 차이
실용화성학 - 김상열

[실용화성학] 대학 입시?! 미디전공과 작곡과의 차이와 입시 요강에 대해 알아봅시다!


 

“실용화성학 입시 특강 첫 번째 시간! 미디 작곡과와 작곡과의 차이는 무엇??”
 

 
Q1.  

미디 작곡과와 작곡과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Q2. 미디 작곡과와 작곡과의 입시 요강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장마가 지나가니 무더위가 찾아왔네요. 습하고 덥고, 밖에 돌아다니기 힘든 날씨인데, 방학인데다 이런 무더위 속에서도 학생들은 열심히 더위에 지친 몸을 이끌고 학교로 가고 있겠죠? 얼마 전에 수능 D-DAY 100일 전이라는 글을 봤었는데, 이제 정말 수능시험이 코앞에 닥친 것 같아요. 저 역시도 수능을 본지 얼마 전 같은데 벌써 수능은 까마득한 먼 옛날이야기가 되어 있네요. 한 살 한 살 나이를 먹는다는 건 슬픈 일이에요. ㅠㅠ

 

 

고등학생이 되고 막연하게 대학을 생각하던 1학년이 지나면 2학년부터는 정말 입시를 눈앞에 두고 진로 걱정에 밤잠을 제대로 이루지 못하고, 부모님과 의견 충돌로 자주 싸우고는 하지 않으신가요? 저만 그랬나요? ^^

 

 

사설이 너무 길었나요? ^^ 그럼 이제 본론을 이야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왜 뜬금없이 수능 타령을 했는지 궁금하시겠죠? 이번에 이야기할 내용은 대학교 입시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그중에서도 ‘K팝스타’나 ‘슈퍼스타 K’, 지금은 폐지된 ‘위대한 탄생’과 같은 오디션 프로그램들이 큰 인기를 끌면서 가수나 음악가에 대한 꿈을 키워나가는 학생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작곡가를 꿈꾸는 학생들도 늘면서 실용음악과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는데요. ^^ 이번에 이야기할 내용은 실용음악과에 속해있는 미디작곡과와 작곡과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두 과의 차이는 무엇이고 또 두 과를 가기 위해서는 어떤 입시 준비를 해야 하는지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 

 
 

 
 


“미디과? 작곡과? 두 개 차이가 뭐지?!”

 

 

우선 가장 큰 차이를 말하자면 흔히 말하는 작곡과는 클래식 작곡을 말하며 지금까지 계속 이야기해왔던 클래식 작곡을 할 수 있는 학과를 말합니다. 클래식 작곡에 관해 잘 모르겠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은 [실용화성학] 무료특강 04. [실용 작곡과 클래식 작곡?! 무엇이 다른가요?]를 보시면 이해하실 수 있으실 것입니다. ^^

  

미디같은 경우는 미디학과가 있는 학교는 그렇게 많지 않습니다. 대부분이 실용음악학과 미디 전공으로 미디를 공부하게 되는 학교가 대부분입니다. 그러므로 미디를 공부하고 싶으신 분들은 미디학과가 있는 학교를 찾아보시던지, 아니면 실용음악과에 미디 전공이 있는지를 확인하시고 학교를 정하셔야 할 것입니다.

  

그렇다면 클래식 작곡에 대해서는 전에 포스팅한 것을 참고하면 되지만 미디에 관해서는 아는 것이 없으니 미디에 관해 간단하게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미디(MIDI)란?

 

 아마 미디라는 말 많이 들어보셨을 거예요. 하지만 정확한 미디의 뜻은 잘 모르시는 경우가 많을 텐데요. 그럼 미디가 과연 무슨 뜻인지  한 번 알아볼까요? ^^

 

 

 미디는 컴퓨터 음악을 지칭하는 말로써 뮤지컬 인스트루먼트 디지털 인터페이스(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의 약로 음

 악 기기 간의 디지털적 연결이란 뜻이 있습니다. 하지만 좀 더 포괄적으로 이야기하자면 아날로그 소리를 디지털로 구현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  습니다.

 


 

 이제 조금은 미디에 대해 알 것 같은가요? 두 개의 설명만으로도 대충 두 과의 차이를 알 수 있을 텐데요 선생님의 강의를 듣고 좀 더 깊이 이야기 나눠 보도록 하겠습니다. ^^

 


 

[마스터 실용화성학]의 궁금 타파! - 미디 작곡과와 작곡과의 입시 요강의 차이는?



 

※ 본 영상은 무료 강의용으로 짧게 준비되었으므로 더욱 자세한 

내용은 [마스터 실용화성학] 본 강의 내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우선 두 과의 큰 차이는 미디 작곡 같은 경우에는 당연히 컴퓨터로 하는 작업이고, 주로 편곡 위주로 곡 작업을 많이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위에서 말했듯이 미디는 전자악기 간의 연결 신호를 말하는 것이지만 우리가 흔히 말하는 미디는 멜로디를 미디 신호를 사용하는 프로그램과 악기들을 이용해서 좀 더 좋은 느낌으로 만드는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또한, 이런 미디의 장점으로는 어쿠스틱 장비가 없어도 가상 악기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여러 악기의 소리를 믹싱하거나 소리를 조합하여 멋진 곡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 중의 하나일 것입니다.

 

더불어 컴퓨터 음악과나 미디 작·편곡과는 작곡과와 마찬가지로 기본적인 화성을 배우기는 하지만 작곡에 비중을 두고 있지는 않습니다. 이 과들은 어떤 음향효과를 어떻게 넣으면 어떤 효과를 낼 수 있는지에 대해 더 집중적으로 배우는데, 음향제작과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와 달리 작곡과 같은 경우에는 노래나 멜로디 라인 등의 새로운 멜로디를 작업하는 것이 작곡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자면, 조금 비약일 수도 있겠지만 ^^ 내가 아무 생각 없이 흥얼거리던 어디서도 들어보지 못했던 멜로디를 녹음해서 그것을 남기거나 작업을 하게 된다면 그거 역시 작곡이라고 할 수 있죠. ^^

 

그리고 작곡과는 화성학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물론 다른 포스팅에서도 말했듯이 꼭 이라고는 할 수 있지만, 화성학을 배움이 어떤 효과를 내는지는 앞선 포스팅에서 계속 말씀드렸으니 그 부분은 패~쓰 하도록 하겠습니다. ^^ 아무튼, 그렇게 배운 화성학을 어떤 효과로 쓰고, 또 어떤 멜로디를, 어떤 악기를 사용할지 다양한 방향을 생각하고 또 해보면서 곡을 만들어 나가는 전체적인 토대를 만드는 것이 작곡과에서 배우는 내용입니다.

 

“작곡은 창작, 미디는 그 창작에 더 멋진 효과를 주는 요소??!"

 


 


그럼 이제는 입시 요강에 대해서 이야기해 볼까요?

 

 

입시 요강 같은 경우는 학교마다 조금씩 다른 경우가 많으므로 지금 제가 말씀드리는 것이 모든 학교에서 공통적이라고는 말할 수 없습니다. 대체로 공통된 부분만 말씀드리고자 하지만, 이건 어디까지나 참고사항일 뿐이라는 점 꼭 명심해주시고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 우선 화성학 같은 경우에는 미디나 작곡 모두 공통적인 필수 요소라고 생각해 주시고 이야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미디 작·편곡 전공 같은 경우에는 미디로 편곡 위주의 작업을 한 곡을 포트폴리오로 해서 인터뷰 형식으로 면접을 보는 곳에 많습니다. 자신이 미디로 만든 곡에 대한 설명이나 면접관이 만든 곡과 관련하여 질문하는 내용에 대한 답변을 준비해 보세요. 더불어 그런 답변을 준비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미디에 관련하여 기본적인 배경 지식은 가지고 있어야 하겠죠? ^^

  

작곡과 같은 경우에는 피아노 연주 위주로 곡을 써서 그 곡을 본인이 직접 연주하거나 연주자를 대동하여 연주하고 면접을 보는 형식이 많습니다. 여기에서 아무래도 연주자를 대동하기보다는 본인이 직접 연주를 한다면 더 좋지 않을까요? 그리고 그렇게 되려면 다른 사람들 앞에서 연주할 정도의 기본적인 피아노 연주 실력은 갖추고 있어야겠죠? ^^ 면접 내용은 역시 곡에 대한 설명이나 면접관이 하는 질문에 답변을 어떻게 하는 지겠죠? 미디와 마찬가지로 작곡과에 대한 기본적 배경 지식은 꼭 숙지해주세요.

  

그리고 어떤 과이던 공통으로 실기전형으로 준비로 준비한 실기 곡은 무한 연습을 통해 의식하지 않아도 칠 수 있을 경지가 되기를 바랍니다. 더불어 면접관 앞에서 주어지는 미션에 당황하지 않고 얼마나 자신의 기량을, 자신을 실력을 확실하게 보일 수 있느냐가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더불어 어떠한 상황에서도 당황하지 않고 대처할 방법을 미리 연습하시면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입시 요강 제대로 준비해서 원하시는 과에 꼭 입학하세요. ^^”



 

지금까지 말씀드린 부분은 어디까지나 참고하시라는 참고적인 이야기 일 뿐입니다. 위에서도 말씀드렸다시피 모든 학교가 다 이런 방식으로 진행되는 것은 아닙니다. 이번 내용은 어디까지나 이런 내용도 있다는 참고사항일 뿐이고, 본인이 가고자 하는 학교의 학과 입시 요강은 꼭 확인해주세요. 어떤 준비를 해야 할지 어떤 식으로 진행되는지 각 학교의 입시 요강을 확인하시고 그에 맞추어 준비하셔야 합니다.

  

고3 수험생 여러분! 100일도 남지 않은 입시 준비 열심히 하시고, 모두 원하시는 학교에 붙으시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수능을 준비 중인 고1, 고2 여러분들도 각자 원하시는 꿈을 향해 열심히 준비하셔서 꼭 원하시는 학교에 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실용음악과나 작곡, 미디 쪽에 관심이 있는 많은 학생분께 이번 포스팅이 도움되시기를 바랍니다. 더불어 이쪽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화성학은 꼭 배워두세요.

 

그게 김상열 선생님의 [마스터 실용화성학]이 되었든 김민아 선생님의 [화성학과 음악이론] 강의가 되었든 말이죠. 더불어 미디에 관심이 있는 학생이라면 박요한 선생님의 [MIDI 작곡] 강의도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네요. ^^ 

그리고 저희 강의가 아니더라도 미리 준비하셔서 모든 학생분의 꿈이 이루어지기를 간절히 소망해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