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아직 약간 개념이 혼동되는데요
오픈코드랑 개방형 코드가 다른건 알겠는데 제가 다른 강의를 통해 배웠던 보이싱 개념과 혼동이됩니다.
보이싱과 오픈코드가 같은건지 아니면 다른건지 궁금합니다.
- 보이싱 개념은 별개로 생각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보이싱에 대한 이야기는 하지 않았기 때문에 보이싱 관련 개념은 다른강의에서 참고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2. 오픈코드의 규칙이 약간 의문이 있는데요
E코드와 A코드의 곡에서만 어울린다는것은 제가 알기론 G키와 D키도 모던워십에 많이 쓰이는
오픈코드형태의 보이싱이 있는걸로 알고 있는데 이건 다르게 봐야 하는건지 아니면 예외인건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1,2번줄을 무조건 개방해야 하는건지도 궁금한데요
E코드나 A코드의 곡인 경우에도 개방안하고 쓰는 코드와 병행하거나 섞어쓰는 경우도 있는걸로 알거든요
그리고 다른 코드의 경우에도 섞어서 쓰는경우가 있던데 어떻게 봐야하는지 궁금합니다.
물론 G키와 D키에서도 오픈코드와 비슷한 형태의 보이싱이 있지만, E키와 A키 처럼 편하게 쓸 수 있는 코드는 별로 없습니다. 그리고 연주를 하실 때 무조건이라는 것은 없습니다. 좋아하는 보이싱으로 사용하셔도 무방하고 다른 코드와 섞어서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실제로 저도 연주할 때에는 같이 사용하는 경우들도 많습니다.
3. 메이저형코드 중에 그림2에 나오는 2번째 코드가 그림이 좀 잘못된거 같아서 질문드립니다.
강의에서는 E코드 모양 그대로 잡으시던데 그림에서는 약간 애매한 모양의 운지가 그려져 있는데
잘못된거 맞는지 확인부탁드립니다.
아 이 부분은 잘 못 나온 부분입니다! 수정 요청 해놓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