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학

글쓴이 : 김민아
등록일 : 2012-01-17
조회수 : 279
목록으로
질문

강의를 듣다가
 
이해가안되는 부분이 있어서요 9강에 연주에관한 용어에서
 
앞꾸밈음의 겹짧은 꾸밈음과
 
미끈꾸밈음이 같게 표현되있더라고요;;
 
정확히 미끈꾸밈음과 앞꾸밈음 혹은 뒷꾸밈음과의 차이가 뭔가요??
////////////////////////////////////////////////////////////////////////////////////////////////////////////////////////////
 
13강의 음계에서요 그리스에는 7개의 선법이 있는데
음의 배열 순서가 다르지 구성음은 같잖아요..
그러면 시작/끝날때의 음에만 영향을 주고 나머지 음은 상관이없는건가요??
 
예를들어
어떤악상('도레미레도미솔미도'라는식으로요)이있으면
그악상을 이오니안 선법으로 곡을 쓰는 거랑 에올리안 선법으로 곡을 쓰는 것의 차이가무엇이냐 이것을 묻고싶습니다;; 그러니까 음.....구성음은 같은상태에서 음계의 으뜸음, 이끔음,가온음 등이 변화하는것의 효과!??!에대해서 좀 알려주세요


--------------------------------[답변내용]--------------------------------

김민아입니다.
 
겹짧은꾸밈음과 미끈꾸밈음은 연주상 같은 싯가(길이)로 연주해야 하지만 겹짧은꾸밈음과 미끈음의 다른점은 미끈꾸밈음은 음의 순서가 차례대로 되어있는 즉 차례가기로 되어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예를들어 시레도라고 연주하면 겹짧은꾸밈음이고 시도레라고 연주하면 미끈꾸밈음입니다.
 
앞꾸밈음은 말그대로 꾸미는 음이 앞에 위치한것으로 앞의 꾸밈음이 짧게 연주되고 뒤에 나오는 음이 긴반면, 뒷꾸밈음은 꾸밈음이 뒤에 위치하여 앞의 음이 길게 연주되고 뒤의 음이 짧게 연주됩니다.
 
그리고 그리스 선법은 각 선법이 구성되는 음이 다르며, 장조에서 끝나는 음이 '도'이고 단조에서 끝나는 음이 '라'인것 처럼 각 선법마다 종지음과 부종지음이 있게 됩니다.
예를들어 '레'에서 시작하여 '레'로 끝나는 도리아선법은 종지음이 '레'이고 부종지음은 '라'가 됩니다. 이 두음을 중심으로 선율을 만들게 되는 것입니다.
 
이해 되셨나요?
더 궁금하신점이 있으시면 글올려주세요
 
도약닷컴 음악이론강사 김민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