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학

글쓴이 : 김민아
등록일 : 2012-07-18
조회수 : 210
목록으로
(부3화음) 6-2-5도와 1-3-4도

1.
화음에서 6도 - 2도 - 5도 설명좀 부탁드려요.
이게 5도권 관계라고 하시는데 전 아무리 생각해도 5-2-6도가 5도권관계인것같아서요
납득이 안가서 선호하는 관계라고하셔도 잘 모르겠어요;
 
 
2.
마이크소리가 작아서 키워도 잘 안들리는데 1 - 3 - 4도 관계에 대한 설명좀 다시 부탁드릴게요.
이것외에 거의 쓰지 않는다는 말씀도 하시는데 그것도 좀.ㅋ;




--------------------------------[답변내용]--------------------------------

김민아 입니다.
 
1번에 대한 답입니다.
 
화음에서 6도-2도 관계를 말하면 우리가 5도권이라고 하는것을 우선 이해를 잘하셔야해요
5도권이란 위로5도위의 음정을 갖는 조성을 말할 수 있어요
여기에 근거한 화음이란 5도위 또는 5도아래 즉 4도위의 화음을 말합니다.
 
그럼 6도와2도 관계를 보면 라에서 레로 내려가면 5도아래가 되고 위로 올라가면 4도위가 되므로 5도권에 근거한 화음으로 그 관계가 잘 어울린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6도는 1도의 대리화음이고 2도는 4도의 대리화음 이므로 이 관계를 보면 6도-2도-5도관계가 좋습니다.
강좌 중 화성의 기능편을 보면 왜 이 진행이 좋은지 알 수 있습니다.
 
2번에 대한 답입니다.
 
3도라는 화음을 생각하면 이 화음은 이끈음을 가진 화음으로 여기에 쓰인 이끈음을 으뜸음으로 처리하게 되면 5도의 화음 기능을 빼앗는 결과를 갖게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이끈음의 기능을 약화시키면서도 화성진행을 잘 이끌어 가기 위행 쓰이는 진행이 바로 이 진행입니다.
 
이 진행을 보면 도시라로 하행하는 선율 라인을 만들 수 있습니다.
여기서 3도의 이끈음이 하행하면서 자연스런 선율진행을 하므로 그렇다는 것입니다.
그외에 3도의 쓰임이 제약되는 이유가 바로 이끈음의 해결때문입니다.
 
 
이해되셨나요?
더 궁금하시면 글올려주세요
 
 
도약닷컴 화성학강사 김민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