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차르트 5도?
모차르트 5도 (네이버 백과사전)
증5 · 6화음이 딸림3화음으로 진행할 때 생기는 병행5도. 반음계적 진행이기 때문에 불쾌감은 적다. 모차르트가 즐겨 사용했다 해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
음..설명을 읽어봐도 잘 모르겠어요.
1도의46화음에서 발생한 완5도에서
5도의7화음(3음#)에서 감5도를 만든 후
종지를 맺은 것이고
먼저 화성진행으로보면 1.완5도를지닌 으뜸3화음을 ->> 2. 감5도를 지닌 딸림7화음으로 진행한건데.. 설명하고 일치되는 상황이맞나? 싶어서요.
그런데 막상 nwc로 재현해보니까 음은 불쾌감없이 아주 좋은 진행이네요?
감5도가 나왔는데 이런소리가 나와서 좀 신기하고..
근데
모차르트 5도의 정의를 읽어봐도 지금상황이 확 와닿지가 않아요 지금 유일하게 병행5도만 이해갔는데
쌤, 어떤원리로 저게 모짜르트5도인지 좀만 더 알기쉽게 설명해주실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