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께서 체크해주신 걸 보니
과제를 하고나니 제가 주로 은복, 7화음을 사용하는 데서 많이 틀리는 것 같네요
은복은. 좀 더 주의를 기울이고.
7화음에 대해서 제가 좀 이해가 부족했던것 같아요.
그래서 정리를 해봤는데 이 내용이 맞는지 봐주세요!
속7화음의 사용
(C를 기준으로)
기본형태_ 솔시레파
이때 7음을 2도 하행시키고
3음(이끈음)을 2도 상행한다
---------
부 7화음
특별히 반드시 해결해야할 사항은 없다.
-----
감/반감 7화음
기본형태_ (C) 시레파라
근음(이끈음)만 2도 상행한다
*옛 이탈리아 5도 병행이 적용된다.
--------------------------------[답변내용]--------------------------------
김민아 입니다
7화음에 대한 정의를 좀 잘못 알고 계시는것 같습니다.
7화음에서 7음 해결은 무엇보다도 중요합니다.
7음이라는 음 자체가 근음과 7음간의 음정이 7도이고 전위되는 경우 2도 이기 때문에 음정 자체가 불협화음정 입니다. 이를 해결해 주어야만 보다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 7음을 2도 하행시켜 안정된 진행을 시켜주게 되는 것입니다.
다만 V7의 제2전위인 V34에서 베이스의 음이 상행되어 I6으로 해결 될경우 7음의 하행하는 해결음과 중복되어 3음중복이 생기게 됩니다. 이때 서로 반진행으로 해결이 되는 경우는 3음을 중복하지만 그외에는 7음을 오히려 2도 상행시켜 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당연히 이끈음은 상행진행하여 으뜸음으로 해결해 주는 것이 좋구요
부7화음은 부3화음위에 7음을 추가한 것으로 가끔 부3화음처럼 3음을 중복하려는 경향이 있지만 여기서 부7화음은 속7화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시켜 주셔야 합니다.
그러므로 7음해결은 필수 사항입니다.
감7화음과 반감7화음은 화음 자체가 Vii에서 구성이 되었기 때문에 근음상행 7음하행시키는 것이 기본입니다. 이때 진행에서 발생하는 감5도에서 완전5도의 병행을 허용합니다.
다른 화음의 진행에서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다만 증6화음인 Ger6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완전5도 병행을 모차르트5도라 하여 허용한다는 점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감7화음과 반감7화음은 다른 7화음과달리 근음중복이 안되는 대신 3음중복,5음중복이 허용되며, 따라서 3음생략,5음생략이 가능하게 됩니다.
대략 설명하였는데 교재를 꼼꼼히 살펴보시면 이해되리라 생각됩니다.
더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글 올려주세요
도약닷컴 화성학 강사 김민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