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이음 강의에서
1. 병행 질문
파랑색으로 동그라미 친 부분 말인데요.
같은 1도로 두 번 진행하고 있는 부분이요.
파란 동그라미 안에
테너(레)와 알토(라)가 "비화성음을 제외하면" 5도 중복을 하고 있는데
칠판처럼 가운데 비화성음이 껴있으면 풀어주신 5도 진행이 가능한가요?
병행이 아직도 헷갈린 부분이 있네요;ㅋ
---------------------
2. 그림에 있는 왼쪽 두 번째 부분에
4도인데 베이스에 대한 표시가 시로 되어있고
알토에 대한 표시가 파로 되어있어요.
d의 4도면 솔시레잖아요?
음.베이스를 보면 따로 전위표시가 된 것도 아니고.. 7화음도 아닌데 파가 있어요~
-------
3. p.t에 대한 성질 질문인데요.
cam 옆에 p.t.는 무엇에 대한 (경)통과음인가요?
그림에서 보면 cam 비화성음을 뿌리로 두고 p.t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저는 p.t가 비화성음을 주제로 경과할 수 없는 걸로 알았거든요,
비화성음을 주제로도 p.t를 사용할 수 있나요?
--------------------------------[답변내용]--------------------------------
김민아 입니다.
1번에 대한 답입니다.
병행이란 같은 음정인 완전1.5.8도가 같은 방행으로 움직이는 과정에서 생기는 것을 말합니다. 그러므로 여기서는 같은화음 안에서 나타나는 병행이므로 그리고 화성적 진행이 움직이지 않고 같은 음에 머무르므로 이를 병행이라고 말 할 수 없습니다.
2번에 대한 답입니다.
VI를 IV로 잘 못 표기한 상태 입니다. Iv로 표기하려면 화면의 내용처럼 바꾸면 됩니다.
간혹 저도 실수를 하네요 죄송합니다. ^*^
3번에 대한 답입니다.
소프라노에 미시라솔라파로 진행하는데 여기에는 캄비아타와 경과음 그리고 보조음과 이탈음이 섞인 형태의 변이음입니다. 미시라는 캄비아타 시라솔은 경과음 라솔라는 보조음 솔라파는 이탈음 이렇습니다. 일반적으로 변이음을 가운데 음이 하나 빠진 두개의 보조음으로만 알고 계시는데 비화성음들이 변화되어 즉 chainging되어 쓰인다는 것입니다.
어느것을 중심음으로 하는가에 따라 비화성음도 달라집니다. 간혹 전타음이 강박에 나타나는 비화성음이나 앞의 음과 연결되는 형태로 순차 하행할 때 이를 강박에 나타나는 경과음이라고 해석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이렇게 많은 형태가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비화성음은 화성학 문제에서 많이 나오지 않으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정확하게 설명해 드려야 하는데 잘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있는 것 같아 죄송합니다.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시면 메일주세요
mina6688@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