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음계적 전조
반음계적 전조는 개념을 아무리 읽어봐도
얼른 이해가 안가요.
온음계적 전조는 공통음을 주제로 다른 조성으로 옮길 수 있다는건 잘 알겠는데
반음계적 전조의 전조과정은 어떤 식으로 하는건지 전혀 감이 안와서.
그림을 보면 도미솔에서 도가 도#으로 반음 올라갔고.. 솔에서 라로 온음 올라간건가요?
그냥 전혀 모르겠어요 ㄱ-; 왜 갑자기 저렇게되는지도..
이해하기 정말 쉽게 한번 설명해주실 수 있을까요?
--------------------------------[답변내용]--------------------------------
김민아 입니다.
위에 올린 악보대로 이해하시면 되요
예를들어 다장조의 도미솔에서 솔음이 솔샾으로 변하면서 도미라로 변했다면 이는 가단조로 전조되는 과정입니다.
솔샾이 가단조의 이끈음이 되는 것이죠
그래서 바로 가단조의 으뜸화음으로 되는 것이예요
반음계적 전조는 전조되는 과정에서 특징음이 있어요
다시예를들면 레솔시가 다장조의 속화음이고 시음이 시플랫으로 변하면서 도파라로 진행되었다면 바장조로 전조가 된다는 것을 의미해요
각 조마다 특징적으로 나오는 음 즉 조표에 해당하는 음을 알면 공통화음으로 처리되는 전조도 있지만 이처럼 같은음이 두번 나오면서 임시표가 붙게되면 새로운 조로 변하는데 있어서 반음계적 전조를 이루게 됩니다.
이해 되셨나요?
도약닷컴 화성학강사 김민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