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성껏 답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런데 제가 좀 더 알고 싶은것이 있어서 이렇게 다시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먼저 강사님께서는 실용화성학은 코드네임으로 화성을 다룬다고 하셨는데 그러면 전통화성학을 배울때는 그런 코드들은 배우지 않는건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전통화성학으로 기초를 탄탄히 하고 다른 장르의 음악과 제가 원하던 대중음악을 하는 분들이 계시다고 하셨는데, 여기서 궁금한점은 강사님의
강의를 모두 듣고나서 대중음악을 작곡하기 위해서 또다른 강의나 관련서적으로의 공부가 필요한건지(음악을 하면서 당연히 해야하는 꾸준한 공부가 아닌 특별히
대중음악작곡을 위한 공부요!) 아니면 전통화성학을 확실히 공부한 후에 스스로 대중음악에 맞춰서 노력해야하는건지 궁금합니다.
첫번째 강의는 정해진 교재가 없던데 백병동님의 대학음악이론(증보판)을 쓰면 될지
그리고 채보하는 법은 이 강의로 배울 수 있는지 아닌지도 알려주셧으면 합니다.
사실 이미 강사님의 강의를 듣기로 마음 먹었습니다만 이 강의를 들었을때 제가 원하던 결과가 나올지 확신이 서지 않습니다. 강사님의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답변내용]--------------------------------
김민아 입니다.
우선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전통화성에서는 화음기호가 로마숫자로 표기 합니다.
예를들어 C장조 즉 다장조인 경우 으뜸화음을 로마숫자로는 I로 표시하고 코드네임으로는 C 코드라고 합니다. 그리고 딸림화음은 V라고 표기하고 코드네임으로는 G코드라고 하죠 또 버금딸림화음은 IV로 표시하고 코드네임으로는 F라고 표기합니다.
이 세 코드 만으로도 곡을 충분히 쓰실 수 있으십니다. 단 이 코드가 어떤 배열로 이루어져 있느냐에 따라 선율이 어떻게 작곡되어 이러한 코드를 쓰느냐에 따라 곡의 분위기는 바뀌게 됩니다.
기본적으로 다장조의 코드를 잘 알게 되면 다른 조에서도 곡은 충분히 쓰실 수 있으십니다. 모든 곡을 살펴 보면 기본 골격은 으뜸화음-버금딸림화음-딸림화음-으뜸화음으로 되어 있습니다. 즉 I-IV-V-I로 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코드로는 C-F-G-C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조에 따라 그 방법도 다르게 배열 되어 지겠죠? 예를 들어 D코드는 D장조 즉 라장조의 으뜸화음입니다. 그리고 E코드는 E장조 즉 마장조의 으뜸화음이구요...그러면 그에 따른 버금 딸림화음과 딸림화음이 변하게 되는 것이구요.
실용화성학에서 장3화음을 우린 알파벳 대문자로 표기를 하는데 도가 밑음으로 이루어진 코드는 C레가 밑음으로 이루어진 코드는 D, 미는 E, 파는 F, 솔은 G, 라는 A, 시는 B가 됩니다. 이 코드 외에 단3화음으로 구성된 코드는 다장조에서 레가 밑음이 되는 II가 있는데 이는 Dm라고 표기 합니다. 자세한 것은 화성학을 배우시게 되면 저절로 터득되리라 생각됩니다.
화성학교재는 백병동화성학을 기본으로 하고 있습니다.
음악기초 이론 교재는 따로 선정하지 않았습니다. 시중에 나와 있는 음악이론 교재를 보시면 됩니다. 개인적으로 음악통론과 그 실습이란 책과 백병동 선생님의 대학음악이론을 추천해 드립니다. 그외의 책들도 강의를 들으시는데에는 무리가 없다고 생각됩니다.
대중음악은 아까 질문에서도 답해드렸지만 님이 말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음악이론 없이 그냥 생각나는대로 쓰셔도 됩니다. 다만 체계적이고 좀더 안정된 음악을 작곡하고자 한다면 체계적인 이론 공부를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작곡은 이런 토대를 가지고 작곡 하시면 됩니다. 다른 대중음악을 하기 위해 강의를 들으시는 것은 자유입니다. 시중에 많은 좋은 책들이 있기 때문에 많은 공부를 하실 수 있으실 거라 생각됩니다.
문제는 자신이 어떻게 노력하는가가 관건입니다.
제가 가르치는 학생중에 그냥 코드네임으로 작곡을 하던 친구가 있는데 그 친구가 제게 화성학과 작곡 공부를 배우면서 하는 말이 있습니다. 코드만으로 작곡할 때와 다르게 화성을 알고 그 화성의 소리를 확실히 알고 곡을 쓸 때와는 곡의 구성과 전체의 울림 자체가 다르다고 합니다. 아무리 좋은 소리라도 내가 무엇을 말하려는지 체계가 잡히지 않으면 듣는 사람도 알 수 없다는 것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혹 아시죠? '아버지 가방에 들어 가신다'와 ' 아버지가 방에 들어 가신다'는 엄연하 차이가 있다는것....
질문에 답이 되었나요?
궁금하신점 있으시면 글올려 주세요~~
좋은 하루 되세요
도약닷컴 화성학 강사 김민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