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계이름 중 고정도법과 이동도법이 있는데요.
그 의미와 예를 좀 알기쉽게 설명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답변내용]--------------------------------
김민아 입니다.
우리가 노래를 부를 때 도레미파솔라시도라고 계이름으로 노래를 부르죠?
그런데 각각의 음에는 고유의 음이름이 있습니다.
예를들어 가운데이탈리아어인 '도'를 우리나라말로는 '다'라고 하고 영어로는 'C'라고 합니다.
그럼 '도'를 '다'라고 했을 경우 우리나라 음이름으로는 '다라마바사가나다'라고 하고 영어로는'CDEFGABC'라고 하겠죠?
그런데 노래를 부를 때는 도레미파...라고 계이름으로 부르게 되는데 이처럼 도레미파... 라고 부르는 것을 계명창이라고 합니다.
계명창으로 부를 때 각각의 조에 따라 도레미파..로 부르는 경우를 이동도법이라고 합니다. 그러니까 조가 바뀌어 으뜸음이 바뀌면 그 으뜸을을 '도'라고 하고 그 조에 따라 도레미파....도 다르게 바뀌는 것입니다.
그런데 조가 바뀌어도 계이름으로 바꾸어 부르지 않고 원래의 음으로 부르는 것을 고정도법이라고 합니다. 예를들어 '사장조'의 경우 솔음이 으뜸음이니까 솔을 도로 읽게 되면 이는 이동도법이고, 솔을 그대로 솔로 읽게되면 그것은 고정도법입니다.
더 쉽게 말하면 '고별'이라는 스코틀랜드 민요가 바장조로 되어 있을경우 이동도법으로 계명창을 할 경우 '솔도도도 미레도레 미레도도 미솔라..'라고 계명창을 하면 이는 이동도법 이고. '도파파파 라솔파솔 라솔파파 라도레..'라고 계명창을 하면 이는 고정도법 입니다.
영어로 'CFFF AGFG AGFF ACD..'라고도 읽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탈리아 음이름인 도레미파솔..로 계명을 읽는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이해되셨나요?
더 궁금하시면 글올려주세요
도약닷컴 음악이론 강사 김민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