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학

글쓴이 : 김민아
등록일 : 2013-02-13
조회수 : 121
목록으로
10강 질문입니다.

1 .

87쪽에서 ex. 63번에 c minor 예시에서

왜 시가 플랫됫는지 잘 모르겠어요 ㅠㅠ 설명해주세요~

10강 56:24 부분에 설명이 이해가 잘 안가네요 ㅠㅠ

2.

6 -2 -5 의 진행이 가장 좋고..

6-5 진행은 어색하고..

이런것의 판별기준을 잘 모르겠어요ㅠㅠ

그리고 5도권 관계에 있는 화음으로 진행하면 왜 부드러운 진행이 되는지도 설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내용]--------------------------------

김민아 입니다.

1번에 대한 답입니다.
이 경우에는 가락단음계에 대한 경우 입니다.
가락단음계는 선율적으로 자연스런 진행을 하기 위해 만들어진 음계입니다.
따라서 상행시에는 제7음을 반음올려 이끈음의 역할을 충분히 해주지만 하행할 때에는 자연스런 진행을 위해 원래의 음으로 돌아가게 되는 것입니다. 만약 가락단음계처럼 반음을 올려주면 화성적인 진행 뿐만 아니라 선율적인 진행에 있어서도 불안한 진행을 갖게 됩니다. 마찬가지로 동영상에서도 그에대한 예를 설명한 것입니다.

2번에 대한 답입니다.
VI에서 바로 V도로 가게되면 5도권의 진행으로 가는 II도 보다 자연스런 진행이 덜합니다. 그래서 진행의 자연스러움을 주기 위해 VI- II- V의 진행을 하는 것입니다.
5도권이란 완전5도 관계의 조성을 나타낸 것입니다.
이 5도권을 살펴보면 관계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알게됩니다. 이처럼 화성진행에 있어서도 5도권의 진행처럼 화성을 완전4도 또는 완전5도 위 또는 아래의 화음으로 진행하면 아주 자연스런 진행이 됩니다.
직접 소리를 들어 확인해 보시면 더 정확하리라 생각됩니다.

이해되셨나요?
더 궁금하시면 글올려 주세요

도약닷컴 화성학강사 김민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