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도약닷컴 내가 만드는 음악 실용작곡 강사 배수희입니다.
바로 답을 하자면
1.아래 내려보시면 피아노곡과 합주곡 (악기편성은 마음대로 했습니다)두개의 악보가 있는데,만약 다장조에서 C코드를 작곡한다 하였을 때 스케일을 C아이오니언을 쓴다면,아래 악보에 표시 한것과 같이 피아노곡은 높은음자리표와 낮은음자리표에서 C아이오니언의음을 벗어 날 수 없고, 합주곡은 C코드의 수직아래쭉 모든악기가 C아이오니언음을 벗어 날 수 없는 것이 맞지요?(악보에는 코드의 밑음만 표시했지만 만약 다른음도 넣을 경우를 생각해주세요)(크로매틱 어프로치등등은 제외)
답 : 이건 저번에도 답변을 드렸는데 우선 수직적으로 보았을 때, 하나의 코드만 만드는 것이 정석입니다. 하지만 작곡가의 의도에 의해 2개의 코드나 음계를 같이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 무난하게 작곡을 하고 싶다면 하나의 코드만 써도 되고 평이한 선율을 원한다면 그렇게 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여러개의 코드도 같이 쓸수 있는 경우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2. 피아노곡 합주곡 모두 C코드의 밑음을 첫박 가장 낮은 음역대에 넣었습니다. 이렇게 우선 하고,스케일에 맞게 나머지음들을 배치하는데 이 때 어떤 음악장르의 특징에 맞추어서 음들을 배열하는게 좋지요? 마음대로 하지 않고요.
답 : 음을 배치하는 것은 음악장르의 특징에 맞추는 것이 아니라 곡의 선율진행을 보고 결정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c코드의 경우 베이스에 c음을 놓았다면 윗선율에서 c,e,g 음을 고루 쓸 수 있습니다. 이떼 비화성음 적절히 사용하여 선율진행이 자연스럽게 만들어야 합니다.
다음 질문에서 다시 만나요
내가 만드는 음악 실용작곡 강사 배수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