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양식대로 질문 해 주시면, 보다 빠르고 정확한 답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1. 수강중인 과목 및 난이도(ex, 놀면서 배우는 핑거스타일 [초급+중급])
: 고급, 놀면서 배우는 핑거스타일
2. 주차 및 교시 (교재와 관련된 질문의 경우 교재 페이지도 적어주세요. ex,2주차 3교시 6분 50초 / 교재 23페이지)
: 4주차 3교시 처음 부분
3. 질문 내용
: 4번 줄 디미니쉬 코드와 3번줄 디미니쉬 코드가 모양도 같고 계이름도 같은데 뭐라고 칭하는지 횟갈립니다.
4번줄에서 횡이동과 3번줄에서 횡이동 했을때?안녕하세요~
4주차 3교시 강의 노트에서 처음에 나오는 코드 진행 패턴은
m7, 7, Maj7 코드 진행입니다. 3번줄을 루트로 할 경우에 3번 2번 1번줄과 추가로 4번줄을 쳐주게 되는데 가장 낮은 음이
4번줄로 나오는 개념이라 정확한 표기는 이런식으로 된답니다.
ex> Cm7/G, C7/G, CMaj7/G <-C 기준일 경우 (때때로 베이스음인 /G음을 빼고 표기 하는 경우도 있음)
그외에 디미니쉬 세븐 코드의 경우를 이야기 하시는 것 같기도 한데
Cdim7 코드 구성음이 (C, Eb, Gb, A) 이렇게 된 답니다.
Cdim7 코드 구성음을 각 루트(근음)기준으로 다시 나열해보면
C의 Dim7 코드는 C, Eb, Gb, A
Eb의 Dim 코드는 Eb, Gb, A, C
Gb의 Dim7 코드는 Gb, A, C, Eb
A의 Dim7 코드는 A, C, Eb, Gb
이렇게 됩니다. 구성음 자체가 4개의 코드가 동일하게 사용하는데 이때 가장 낮은 음, 혹은 기준이 되는 음이 무엇이냐에 따라 명칭이 확실히 되게됩니다.
4,3,2,1번줄을 이용해서 Dim7코드를 잡고 가장 낮은 음이 C이면 Cdim7(10번플랫 4번줄 기준음이 C)
4번줄 4플랫을 기준으로 잡고 치면 Ebdim7이 됩니다. 이때 기준음(가장 낮은 음)이 Eb이 되기 때문에 그렇죠
추가적으로 구성음들이 같기에 톤적, 보이싱적인 뉘앙스나 음의 높낮이만 다를 뿐 같이 써먹기가 좋습니다.
연주곡들을 종종 보시다보면 Dim7코드만 잡고 갑자기 3칸씩 옆으로 횡이동하면서 (운지 모양자체는 유지) 긴장감을 주는
패턴들이 있는데 주로 이때 써먹는답니다.
좀 내용이 어렵죠? 복잡하게 써놨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내용은 별거없습니다.
1. Dim7의 코드구성음 총 4개는 각각의 구성음이 루트로 되어도 구성음 자체는 동일 하다.
2. 구성음이 동일하기에 표기하는 명칭은 가장 낮은 구성음을 루트로 보는 경우가 많다.
3. 구성음이 같기에 횡이동하면서 연주하기 용이하고 10플랫 4번줄 Cdim7을 잡았는데
톤이 많이 높고 마음에 안들면 4플랫 4번줄인 Ebdim7을 잡아도 쓸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