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강좌와는 다른 질문일수 있으나 주변에서도 명확한 조언이 없어 질의합니다..
노래 제목은. 둘 다섯의 "먼훗날" 전주 첫마디 콩나물 계이름이 높은 "레. 도샾. 레...인지"
솔, 파샾, 솔...인지 ??
1. 어떤 분은 장조 관계없이 계이름은.. 다장조의 일반적인 우리가 알고있는 계이름 표기. 레, 도샾......
2. b라는 사람은 조표가 달라져... 파샾 바로위 솔자리가 도. 즉.. 새롭게 계이름을 조정하여 붙여야,,,
- 이러면, 1번이 어울리고, 2번은 실전에서는 너무 안어울리고
혹시, 계이름은 변하지 않는데... 으뜸음의 위치가 달라져 코드에만 적용??
... 이론상 플렛은 4칸아래가 도, 샾은 바로 한칸위가 도,... 뭔가 배운것 같은데 정립이 안되네요
----------------------------------------------------------------------------------------
안녕하세요 박쌤 입니다.^^
요즘 너무 바빠서 답변이 늦었네요...
질문이 악보의 계이름을 읽는 방법에 대한것 맞으시죠?
조표(악보의 맨 앞에 있는 음자리표 다음에 표기되는 # 이나 b 에) 상관없이
계이름을 읽는것입니다.
# 한개있는 사장조에서도 솔이 도가 되는것이 아니고 솔 로 읽으며 파는 파# 이라고 읽습니다.
으뜸음에 의하여 코드가 정해지는것도 맞습니다.
악보를 읽는 방법은 2가지가 있습니다.
고정도법과 이동도법이 있습니다.
고정도법은 조(key)와 상관없이 악보에 있는 계이름을 읽으면 되는것이고
이동도법은 조의 바뀜에서 으뜸음이 바뀌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 한개있는 사장조에서 솔이 도가 되는것입니다.
하지만 악기를 연주 할때는 고정도법으로 읽으셔야 합니다.
악보를 같이 올려 주셨다면 질문을 정확히 알 수 있었을 텐데요...
궁금한점이 더 있으면 또 올려 주세요~
화이팅 입니다.~!!!
--------------------------------------------[답변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