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금 : 정은별

글쓴이 : 별링
등록일 : 2017-02-14
조회수 : 103
목록으로
손가락 번호와 계이름

안녕하세요,

선생님 강의 너무 잘 듣고 있습니다.

 

연주곡 마다 "조"가 달라지고, 1지 포지션이 달라지잖아요.

그래서 그런지 오선보 곡은 손가락 번호가 잘 안외어지더라구요.. ㅠㅠ

손가락 번호를 적어놓으면, 손가락 번호만 의지하게 된다고 하셔서 

되도록이면 안적으려고 노력합니다. 

 

그런데, 조에 따른 계이름을 악보에 적고, 계이름을 외우면 어느 정도 손가락 번호가 예상이 되더라구요,..

계이름을 악보에 적어놓고 연습하는 것이 손가락 번호를 적어놓고 연주하는 것 처럼, 해금 연주에 방해가 되나요?

 

전공자들은 곡마다 악보를 어떻게 외우세요?

계이름으로 곡을 따로 외우시나요? 아님 많이 연주하다보면 자연스럽게 외워지시나요? 

 

 

 

 

--------------------------------------------[답변내용]--------------------------------------------

 

아.. 맞아요... 해금을 오선보로 배울 때 가장 어려운 점 중 하나가 바로 그거인데요,,

음.... 전공자들의 경우에는 각 조마다 계이름을 외우는 것 이상으로 거의 온 몸으로 체득한다고 보시면 되어요.

그래서 그냥 툭 치면 톡 떨어지게끔 각 조표에 따른 조의 이해를 충분하게 해주고,

그 후에 1지=으뜸음, 1지=딸림음, 1지=버금가온음, 1지=가온음, 1지=버금딸림음 순으로 배우게 되어요.


그런데 각 조에 따른 1지변화가 저렇게나 많으니 총 15가지의 조표 x 7가지운지=105가지의 1지운지가 나오게 되죠 ㅠㅠ

때문에 각각을 다 외우려고 하신다기 보다는..

 

제가 강의에서 가끔씩 음정 간격의 차이를 말씀 드릴 때가 있는데

(예를들어 반음과 온음차이, 혹은 온음에다가 반음이 더 올라감 온음+반음 차이라던가)

이러한 음정 간격을 잘 이해해주시면 어떤 조표라도 쉽게 운지를 떠올릴 수 있어요.

 

제가 해드리는 말이 좀 어렵다고 여겨지시면요..

그냥 현재 배우시고 있는 운지를 외워주세요. 몇가지 외우다보면 그다음 여러 조표들에 대한 1지는 어느정도 감이 잡히실 겁니다.

 

그러니 너무 단판승부를 내려한다기보다는 50%정도 외워주시고 50%정도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도록 해주시면되구요,

너무 어려울 땐 그냥 손가락 운지 써서 연주하셔도 되요 ^^

저도 너무 어려운 곡들은 가끔 손가락 운지를 악보에 기입하기도 합니다 ^^

 

또 어려우신 점 있으면 게시판에 글 남겨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