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너무 헷갈리네요 ㅋㅋ 메이저에서의 대리코드는 한번에 이해가 갔는데 마이너는 메이저랑 조금 다른가 봅니다. 그래서 메이저의 대리코드들도 의문점이 들기 시작하더군요 그래서 질문하겠습니다 :)
1. Minor key의 기능에 대한 부분에서, 토닉 부분 Im Im6 ImM7 Im7으로 내츄럴,하모닉,멜로딕 키에서의 토닉은 다 나온거 같은데, 서브도미넌트 부분에선 IVm IVm6 IVm7로 멜로딕 키에서의 IV7이 수업 때나 강의노트에 없습니다. 똑같이 도미넌트 부분에서도 내츄럴 키에서의 Vm7이 없습니다. 어떻게 된 건가요?
2. 예를들어, a natural minor에서 토닉은 Am7이고 그의 대리코드는 메이저 때와 같이 3도, 6도인 CM7, FM7이 토닉의 대리코드 인가요?
a natural minor에서
토닉: Am7 대리코드: CM7, FM7
서브도미넌트: Dm7 대리코드: Bm7(b5)
도미넌트: Em7 대리코드: G7
a harmonic minor에서
토닉: AmM7 대리코드: C+M7, FM7
서브도미넌트: Dm7 대리코드: Bm7(b5)
도미넌트: E7 대리코드: G#dim7
a melodic minor에서
토닉: AmM7 대리코드: C+M7, F#m7(b5)
서브도미넌트: D7 대리코드: Bm7
도미넌트: E7 대리코드: G#m7(b5)
맞나요?
3. 수업내용 중에 마이너에서의 서브도미넌트의 대리코드 부분에 Dm7과 FM7이 즉, IVm7과 bVIM7이 대리관계라고 나왔는데 도수가 4도와 6도입니다. 그럼 여기서 궁금증이 생깁니다. C key에서 서브도미넌트 즉 4도의 대리코드는 2도인 Dm(혹은 Dm7)라고 하셨는데 그럼 6도인 Am(혹은 Am7)도 서브도미넌트 FM7의 대리코드가 될 수 있는 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