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명하시는 내용이 이해가 안됩니다.
질문에 대한 답이 맞는지요.
-----------------------------------------------------------------------------------------------
선생님 수업 너무 잘 듣고 있습니다.
궁금한 것이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
Tension을 설명하실 때 왜 모드를 가져와서 설명하는지가 궁금합니다.
이해하기 편하게 하기 위해서인가요?
다이아토닉이라는 것이 조성에서 나오는 것인데, 이게 모드로 설명을 하니까
근본적인 부분에서 이해가 되지 않아서요^^
안녕하세요^^
다이아토닉 스케일만 존재하는것이 아니라 마이너 스케일 모드스케일 펜타토닉 스케일등 다양한 스케일이 존재합니다.
텐션이란 개념은 모드에서 바라보는것이 가장 이해하기 쉽구요.
모드스케일을 숙지하신후 텐션을 공부하시면 쏙쏙 들어오실거예요
감사합니다^^
선생님!!
다이아토닉이라는 것이 일정한 법칙이 있는 있는 음계 안에서 나올 수 있는 코드의 개념이라는 것은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보통 예시를 드는 내용이 조성곡이고 그 안에서 나오는 다이아토닉 코드들의 텐션을 설명하는데,
모드 개념을 가지고 와서 설명하는 게 어떤 연관성이 있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텐션이란 개념은 모드에서 바라보는 것이 가장 이해하기 쉽구요"
라는 말씀을 설명을 위해 가져온 것이라고 생각해도 되나요?
특별한 연관성이 없는데, 설명하기 편해서 가져온 개념, 이렇게요?
C major 코드의 2도m7의 텐션을 설명하는데, 왜 모드의 두번째 도리아를 가져와서 설명하는지가
이해가 안되서 질문 한 것입니다.
d doria 스케일은 다이아토닉 스케일과 음은 같죠?
같은데 d로 시작된다는것이 다른점입니다.
d로 시작하는 이 스케일이 d doria 스케일입니다.
3도,4도, --- 모두 마찬가지입니다.
이 스케일안에서 텐션이 만들어 집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