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Major Diaotonic scale ( A Key) 에서, E7(Ⅴ7)에서 1도의 대리코드로 끝나면, 이게 거짓마침이 잖아요?
근데 거짓마침이 제가 알기로는 Tonic이면 Ⅵm7(b5), bⅢM7 이렇게 끝나는걸로 알고있는데,
예제곡 '사랑하기 때문에' 설명하시던 도중,
E7 -> C#m7로 갈때, C#m7을 Ⅲm7로 적으셔서,
이게 반드시 bⅢM7 규격이 아니라, 임시표때도 그냥 Ⅲ도 이기만해도 대리코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