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선생님 :)궁금증이 생겨 연달아 질문을 하게 되었습니다.2주차 3교시, Practice와, Someday My Prince Will Come 분석 중에 augmented 코드가 나올 때 관련한 질문인데요,augmented가 b13이라는 것 까지 이해는 했는데,1.Practice에서 4번째 마디에 B+7이 EM7으로 향할 때 왜 Whole Tone이 되는지 이해가 잘 안됩니다.b13을 가진 W.T은 minor 코드의 3음과 일치하기에 마이너로 향하는 게 일반적이라고 하셨고 그렇게 이해가 돼서요.2. Someday My Prince Will Come 에서두번째 마디의 D7+5(레,파#,라#,도) + 또한 G7+5(솔, 시, 레#, 파)으로 향하면서 W.T이 되는 부분도 D의 b13음이 G의 3음과 다르므로, 1번 질문과 같이 이해가 잘 안됩니다.3.Someday My Prince Will Come 에서6번째 마디의, G+7이 C7으로 갈 때, 질문드린 2번째 문제의 상황과 비슷하다고 생각되는데 여기서는 H.m P 5th Down 스케일이라고 되는 것도 헷갈리네요.만약 홀톤도 세븐스 코드로 갈 수 있고, 마이너도 세븐스 코드로 갈 수 있다면, 어떤 경우가 홀톤인지 어떤 경우가 H.m.P.5th.Down이라 해야할지를 모르겠습니다.전반적으로 홀톤 스케일은 b13을 가짐으로써 마이너로 향하는데, 특별히 9음을 텐션으로 써줘야 하는 상황에 쓰인다고 기억을 해서 헷갈리는 것 같습니다. 도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셨어요?
좋은 질문입니다~!!
어떤 질문을 하느냐에 따라 수강생의 실력을 판단할 수 있는데 꼼꼼히 잘 이해하고 계신것같아요^^
질문하신 두 스케일의 차이는 어떤 9을 텐션으로 가지고 있느냐입니다.
둘 다 b13을 가지고 있기때문에 일반적인 경우에는 b13과 b9이 짝이 되기때문에 타겟코드가 도미넌트나 마이너가 되는 경우에는 Hmp5th down scale 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B+7이 EM7으로 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B7 -> EM7 (B7은 믹솔리디안 스케일. 텐션 9, 13)
여기에서 B7이 B+7이 되면서 텐션이 9과 b13이 되었죠.
그래서 9과 b13을 텐션으로 가지고 있는 홀톤이 스케일이 됩니다. 말씀하신대로.홀톤의 b13이 타겟코드의 마이너 3음이 되기때문에 기본적으로 마이너와 어울린다고 알려드렸어도 강의에서 말씀드린대로 연주자와 작곡가의 취향에 따라 얼마든지 다른 상황이 나올수 있습니다. 그래서 음악이론이 어려워질수록 100% 정답이라고 주장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연주나 음악청취를 통해서 귀를 함께 훈련시키시면 이론과 다르더라고 이상하지 않으면 사용할수 있는 경우를 분간하실수 있을꺼에요.
좋은 주말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