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강의 계속 보다가
질문이 많아서요 ㅠ
모아서 질문드립니다~~
1.
F블루스에서
GM7으로 가는 2-5-1 진행중에 Am7(2) 과 D7(5) 에
Am7에 b5가 붙고 D7에 b9이 붙어야되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미b 때문에 붙여준다고 하셧는데 이유를 잘모르겠어요 어차피 이어지는 코드진행이지만
Am7, D7, GM7 각기 다른 스케일을 정해서 쓰는거 아닌가요?
2.
37page
Darn that dream 분석에서 G Major 곡이 가다가 11번째 마디에서 전조가 되어서
저는 G키에서 단3도 내려가서 Eb minor로 진행이 되는거라고 생각을 했는데
강의안의 코드분석은 Eb키를 1도 기준으로 해서
Major 다이아토닉 코드 성질 따와서 분석을 계속하여서 이해가 잘안되었습니다
G major 에서 Eb major 로 전조가 된건가요? 이런식으로 메이저에서 메이저로의
전조가 이루어지기도 하는건지 궁금하네요. 단3도가 내려가서 메이저에서
마이너로 전조가 되고 마이너 다이아토닉으로 분석을
해야되는건줄알았거든요
3.
분석시 왠만한 마이너 다이아토닉 코드는 도리안으로 커버가 가능한거로 알고있는데 혹시 특별한 이유가있는건지 궁금합니다
4.
Bb메이저에서 곡을 진행을 할 때
A7sus4 랑 A7이 Dm7으로 넘어갈 때 (A7sus4, A7) 두개가 묶여서 Sec.Dominant로 쓰이면서 스케일은
HMP5th다운을 쓰지만 어보이드 노트가 A7sus4에서는 도#(강박에 하면안되는거) A7에서는 레 인 이유를 잘모르겠습니다
일단 A7같은경우에는 D음이 11로 도미넌트에서는 b9,b13 더불어 11도 텐션으로 쓸수있는거아닌가요? 어보이드노트가 왜 레 가 되는지 이해가 가지않아서요
5.
분석시 도미넌트 코드가 2-5로 쪼개지는게 가능하다고 하시면서
G7이 온자리에 Dm7 -> G7 으로 바꾸기가 되던데 도미넌트 자리에 2(Dm7)이 와도 멜로디나 기타 것들과
부딧침이 없다고 보면되는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