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변 감사합니다. 다른하나 더
20년 가까이 악보를 안보다 이제야 가르치려하니 다 잊어서 다시 해야할거 같습니다.
우선 악보를 보면 높은음자리는 늘 G 에서 그려야 하는가요
그리고 왼쪽에 플랫이 여러개 붙으면 맨 마지막 플랫에서 4음을 내려서
장조 단조 정하는걸로 알고 있는데
거기에 대해서 자세히 알려주십시요 그렇게 해서 단조 장조를 정하는게 악보 보는데
무슨 의미가 있는지요
--------------------------------[답변내용]--------------------------------
시창 청음 강사 신계열입니다.
높은 음자리표는 G음에서 시작해서 그려야 합니다.
그래서 높은 음자리표를 G Clef 라고도 합니다.
플랫 계통은 조성을 찾을 때 맨 마지막 붙은 조표에서 4도 내리면 으뜸음이 됩니다.
장조라면 4도 내린 바로 그 음이 조성이 되고...
단조라면 또 거기서 3도 내려야 합니다.
장조와 단조는 당연히 음악의 느낌이 다르겠죠??
그것을 말로 설명하기는 어려울거 같고..
장조라고 정확하게 알고 있는 곡들과 단조 곡들을 비교해서
많이 들어 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음악이론적인 부분이지만 모든것이 음악을 좀 더 정확하게 잘 알고
듣기 위해 하는 것이니까 많이 듣고 느낌을 이해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그리고 제 생각에는 시창 청음은 아무래도 음악이론을 심도있게 다루지 않기 때문에
한계가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괜찮으시다면 이론 수업을 들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편하고 효과적인 방법을 선택하셔서 공부하면 좋겠어요.
또 궁금하신 점 있음 글 남겨 주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