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 설 잘 쉬시고 계속되는 열강 부탁합니다.
제가 며칠 전 선생님 강좌를 듣고보게 됐는 데, 강좌 신청전에 나름대로
시창/청음에 대해 전문가는 아니지만 몇 사람에게 물어 봤는데, 의문이 생겨서요.
이왈 공부하는 거 처음부터 확실하게 해나가고 싶습니다.
1. 조표가 붙은 악보는 이동 도법이 좋다고들 해서, 왜냐고 물으니, "#,b" 읽기가 어렵고,
조성파악이 쉽다고 하는데. 조성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해를 해야 하는지요.
-선생님께서 강의시에 원음 7음 #,b붙은 음을 외우라고 하셨는데,
글구, 고정도법과 이동도법 어느 방법이 장점이 많은 가요?
2. 강의 신청 전에 시창/청음(패턴이 수백가지 되는) 책을 샀는데, 좀 안다는 친구(그리 전문가는 아닌 친구)가
"외우지 말라"고 하는데, 맞는 말인가요? 제 개인적인 생각에는 외우는 것도 좋을 것 같은데요.
초보로서 어느 것이 맞는 것인지 헷갈리네요. 명쾌한 지도편달 부탁드립니다. 안녕히 계세요.
--------------------------------------------[답변내용]--------------------------------------------
안녕하세요. 청우학생
제 강의에 질문을 달아준 첫 학생입니다
기억하고 있겠습니다 ^^
우선 질문에 대한 답으로
1. 음악을 공부하는데 있어 이동도법에 여러가지로 도움이 됩니다. 왜냐하면 조성에 대한 이해와 음계에 대한 파악이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하는 공부는 시창청음입니다. 제가 가르친 학생이나 친구둘을 보면 청음의 경우 이동도법으로 하는 학생들은 그 틀을 벗어나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왜냐하면 무조, 즉 조성이 없이 임시표가 많이 달린 악곡이 나오면 음이 들리지 않고 시창을 하기 어려운 것이죠. 왜냐하면 조성파악이 안되니까요.
하지만 고정도법으로 공부를 하면 조성파악을 굳이 하지않아도 악보를 있는 자체로 보기때문에 쉬운 것입니다.
조성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해해야 하냐고 했는데 조성을 파악한다면 시창청음이 쉽기는 합니다. '예를 들어 내림마장조의 곡 같은 경우 시창, 청음시 내림마장조라고 이해를 하면 시, 미, 라에 플랫을 붙인다 생각을 하기때문에 조성파악이 중요하긴 합니다. '하지만 항상 조성의 곡이 나오지 않으므로 고정도법을 이용하는 것이 도움이 되고, 거기에 덧붙여 조성까지 이해가 된다면 악보를 살피는데 크게 도움이 됩니다.
2. 시창, 청음은 개인마다 차이가 큰 실기라고 말씀드렸습니다. 개개인에 맞추어 강의를 할 수 없고, 제가 레슨을 해본 결과, 절대음감이 아니라면, 음은 외워야 합니다. 자연적으로 익혀지기가지 기다린다면, 시간이 오래걸릴뿐 아니라, 강의를 진행하는데 있어 여러가지 어려움이 있습니다. 따라서 음을 빨리 기억하고 외운다면, 청음 시창이 더 쉽습니다. 저는 빠른 길을 알려드리고, 강의는 한명의 학생만 수강하는 것이 아니기에 대체적으로 평이한 방법을 알려드린 것입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었을지 모르겠네요
혹시 이해가 되지 않거나 어려운 부분이 있으면 글을 남겨주세요
저의 강의로 청우 학생의 시창청음 실력이 향상되었으면 합니다.
항상 열공하고, 건강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