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 강의 잘 듣고 보고 있습니다.
질문1) 인스트러먼트 트랙 생성해서 아웃풋을 신스로 하고 노트 몇개 찍은 후 재생하면 소리가 나는데 드럼 그루브에이전트로 하면 소리가 전혀 나질 않네요(.볼륨막대기도들쑥날쑥 안하고). 왜그런걸까요?
질문)2 큐베이스에서 인스트러먼트 트랙을 생성하면 트랙창과 인스펙트창에 프리셋과 프로그램을 설정 하는 곳이 모두 있잖아요.그리고 그 옆에 에디트 인스트러먼트도 있구요
같은 기능을 하고 있는데 여러군데(인스펙트창과 트랙창)에 있다는 건 알고 있습니다.
근데 이것들의 개념과 사용목적이 잘 이해가 안됩니다.
이펙트창을 띄우면 또 프리셋이 있고(인서트쪽).
뭐가 뭔지 개념이 안잡히네요. 굉장히 기초적인 부분인것 같은데 확실히 개념이 안잡혀서 복잡합니다. 아웃풋에는 가상악기 이름을 설정하는건 알겠는데.... 아...
이해 하기 쉽게 부탁 드려되 될까요?
--------------------------------[답변내용]--------------------------------
안녕하세요. 미디로 배우는 실전작곡의 강사 박요한입니다.
질문1) 일단 트랙의 설정을 보아야 자세한 설명을 드릴수 있겠지만, 먼저 기본적인
오류에서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인스트럭먼트 트랙으로 그루브 에이전트를 불러오신
후에 음색을 로딩하셔야 소리가 납니다. 음색 로딩하는 방법은 강의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볼륨막대가 왔다갔다 하지 않는것은 로딩된 음색이 없기 때문일수 있습니다.
미디 신호가 먹지 않는다면 트랙의 미디 인풋경로 설정을 살펴봐주시기 바랍니다.
질문2) 각 기능들마다 프리셋이 있는데, 이것들은 해당 기능에 대한 셋트 설정으로
이해하시면 좋을듯 합니다. 예를들어, 인서트에 있는 프리셋은 인서트 셋트를
프리셋으로 저장한 것이고, 이펙트 안에 있는 프리셋,(컴프 안에 있는 것은 컴프
설정을 프리셋으로 저장, EQ 안에 있는 것은 EQ 설정을 프리셋으로 저장) 한것입니다.
인스트럭먼트 트랙의 프리셋은 트랙 전체(현제 프로그램을 실행할수 없어 자세히
기억나지 않지만, 각 악기별로 또는 스타일별로 음색과 이펙트를 셋트로 저장해놓은 프
리셋)이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인스트럭먼트 트랙의 프로그램과 에디트
인스트럭먼트는 같은 기능이긴 합니다만, 다르게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보통 큐베이스 자체에 포함된 가상악기의 경우 트랙창의 프로그램 설정과 호환이
잘 되는 경우가 많지만, 다른 가상악기의 경우 트랙창의 프로그램과 연동이 되지
않는 경우들이 많습니다. 그러니, 인스트럭먼트 트랙창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실때에는,
기본 포함된 가상악기 들을 특별히 음색의 에디팅 없이 패치를 로딩해서 바로
사용하실때에 사용하시면 오류없이 사용하 실수 있습니다. 그 외에 가상악기를
에디팅하거나 연동에 문제가 있을때에는 모두 인스트럭먼트 에디트를 이용하시는
편이 좋습니다. 저같은 경우는 거의 인스트럭먼트 에디트를 사용하는 편입니다.
인스트럭먼트 트랙의 아웃풋에 가상악기를 선택하는 것은 어떤 악기를 사용할지를
선택하는 것이고, 해당 악기에서 어떤 음색을 사용할 것인지는 그 악기 내에서
즉, 인스트럭먼트 에디트를 이용해 결정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해가 되셨기를 바라며, 강의를 다시한번 보시면
제가 드린 설명들이 어떻게 진행이 되는지 도움되실거라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