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 질문 드립니다!
선생님 강의 너무나도 잘 듣고 있습니다^^ 이번에 새로 또 개강하시던데 꼭 들으려고 합니다^^
1.제가 선생님이 주신 큐베이스 6.5로 작업을 하구 있는데요! 제 친구는 누엔도4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한다고 합니다.
한번 보내달라는데 큐베이스 6.5로 작업한것을 누엔도에서 작동시킬수 있는지 궁금해요!
2. 선생님 그리고 큐베이스 가상악기 중에 노이즈를 가지고 있는 게 있는지 궁금해요. 노이즈를 넣고 싶은데 어떻게 찾아야 할 지 모르겠어서요!
3. 또 큐베이스 초급강좌에서 스트링편에 대한 질문인데요! 대게 바이올린은 6명이서 치는 것을 사용하신다고 하셨는데, 큐베이스 가상악기에서 6명이 연주한건지 잘 알수가 없더라구요! 6명이 연주한건지 아니면 1명이 연주한건지 알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이상 질문입니다! 감사드립니다^^
--------------------------------[답변내용]--------------------------------
안녕하세요. 미디로 배우는 실전 작곡의 강사 박요한입니다.
1. 큐베이스 6.5 에서 작업한 파일이 누엔도4 에서 열리는지는 제가 확인해 본 사항은 아니어서 직접 해보셔야
알것 같습니다. 문제는, 열리긴 하더라도 프로젝트가 있는 폴더를 함께 압축해서 주셔야 한다는 것과,
사용하시는 가상악기가 친구분 누엔도에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열어도 소리가 나지 않을수 있습니다.
2. HALion Sonic SE에 보시면 음색 카테고리 중에 FX 라 붙은 것이 있습니다. 이중에서 노이즈를 찾아보시거나
패치 이름에 직접 Noise 를 검색해 보셔도 관련 음색이 나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3. 6명이 연주를 한다는 것은 일반적인 가요 편곡에서 실제 오케스트라를 레코딩 할때 6명을 사용한다는
것이고, 가상악기에서 6명으로 연주한 것을 녹음해 음원을 만든다는 얘기는 아니었습니다.
일반적으로, 스트링 음색 이름에 Solo 가 붙지 않으면 대부분 여러명이 연주한 음원을 녹음하거나
만들어낸 패치이고, 인원수는 정확하지 않지만, 어느정도 규모인지 역시 이름에 써있는 경우가 대부분
입니다. 쿼텟이라던지, 빅 오케스트라 라던지 등등 이름을 통해 어느정도 패치의 사운드를 예상할 수 있습니다.
가요에서 사용하는 스트링의 경우 경우에 따라 다르지만, 중~소 규모의 오케스트라 사운드를
많이 사용하는 편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