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미디로 배우는 실전 작곡의 강사 박요한입니다.
하나씩 설명드리겠습니다.
1. 물론 곡마다 다르겠지만요 스트링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베이시스 이렇게 봤을때요
오케스트라 연주에서 베이시스를 제외한 스트링 들이 모두 코드를 연주하는지
아니면 특정악기는 단선율(멜로디) 특화가 되어있는지 궁금합니다
예를들어 비올라 첼로 는 코드를 연주하고 바이올린은 멜로디를 연주하는게 일반적인것인지
아니면 상황마다 다다른것인지 궁금합니다
=> 일반적으로, 오케스트라 연주의 기본 적인 연주방법은 곡마다 다르지만, 장르에 따라서도 많이 달라집니다.
가요의 경우, 일반적으로 첼로와 비올라 2nd 바이올린이 코드를 잡고, 1st 바이올린이 멜로디와 대선을 이루거나
멜로디가 비어 있는 부분을 채우는 형식의 멜로디 라인으로 자리를 잡습니다.
뮤지컬이나, 그 외의 무대음악에서 클래식처럼, 각 악기들이 대선으로 또는 화음으로 흘러가고, 거기에 서로 메인이 되었다
서브가 되었다 복작한 움직임을 보입니다. 제일 좋은 방법은 하고자 하시는 장르의 오케스트라 선율을 참고하시거나
카피해보시면서, 일반적인 움직임을 감으로 익히시는게 좋습니다. 곡마다 매우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위에 말씀드린 일반론으로는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2. 드럼 피치관련질문
타악기도 피치가 있는데요
타악기의 피치가 화성에 영향을 주는지 궁금합니다
예를들어 피아노 패드 등등이 연주되고있는데 킥드럼의 피치가 화성에 영향이 있는지
아니면 킥드럼의 피치정도는 무시하고 작곡을 해되는지 궁금하네요
=> 타악기의 피치가 화성에 영향을 준다기 보다는 곡의 뉘앙스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이 역시 장르에 따라 자주 쓰는 톤이 있는데, 예를 들어 락의 스네어는 날카롭고 높은 톤을 자주 쓰고,
R&B의 스네어는 매우 높고 가볍거나, 무겁고 묵직한 톤의 스네어를 자주 씁니다.
기본적으로 타악기의 피치가 다름 음정악기 처럼 배음을 많이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매우 예민한 사람이 아니라면 피치를 가지고 화성이 불협이다 느끼기 어렵지만,
말씀드린 피치를 포함한 사운드의 톤에 따라 타악기의 사용을 어떻게 하는지에 따라 음악의 퀄리티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신경쓰셔야 하는 부분은 맞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