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리코드에서 계속 막히네요 ㅠㅠ 질문을 길게 해볼게요 ㅠㅠ
우선 첫번째로요 메이저는 정말 쉽게 이해를 했는데요 마이너 코드가 너무 어려워요 ㅜㅜㅜ
마이너 코드는 메이저 코드에서 단3도로 내려오면 조표는 같잖아요 예를 들면 CM 과 Am 는 조표가 없는 장조,단조잖아요
근데 단조Am 를 AM 메이저 스케일을 이용해서 구하는 거잖아요 그럼 파 도 솔에 샾이 붙잖아요
그리고 그다음을 모르겠어요 ㅠㅠㅠ 넘흐 어려워요 ㅜㅜ
--------------------------------------------[답변내용]--------------------------------------------
안녕하세요. 미디로 배우는 실전 작곡의 강사 박요한입니다.
일단, 조성음악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신듯 합니다.
조성음악이랑, 음정을 어느 간격으로 배열하는냐에 따라 스케일이 정해지고, 그 음들의 역할이 정해지며,
이 음들을 이용한 화음과 각 화음의 역할이 정해져서 움직이는 음악을 얘기합니다.
예를 들어, 11명이 발로 공을 차야 축구라고 부르고, 5명이 공을 손을 사용해 골 안에 넣어야 농구라고 부르는 것처럼
조성음악에서는
8개의 음을 옥타브라 칭하고, 각 음의 간격이 3-4번째, 7-8번째만 반음, 나머지는 온음인 스케일을 메이저라 부릅니다.
내추럴 마이너, 하모닉 마이너, 멜로딕 마이너 역시 고유의 간격을 가지고 있습니다.(강의 참고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이 간격은 어떤음을 으뜸음으로 같던지 간에 모두 간격와 역할, 화음과 화음의 성격이 모두 정해져 있기 때문에
이를 로마숫자로 표기하여, 앞에 음정만 바뀌지 스케일의 성격을 한번에 이해할수 있게 표기합니다.
이 과정에서 같은 으뜸음을 같는 메이저와 마이너 스케일을 구분하기 위해
메이저 스케일을 기본으로 놓고 상대적으로 마이너 스케일의 로마숫자를 표기하기 위해
bIII, bVI, bVII 이라 표기합니다. (이부분은 일전에도 설명드렸으니 참고 바랍니다.)
즉, 이부분은 이미 정해져 있는 부분이고, 이해를 하던 못하던, 그렇게 사용해야 그 조성이 되는 것이므로
영어의 알파벳이나, 일어의 히라가나, 가타가나, 한글의 자음과 모음 처럼 무조건 외우고 시작해야 하는 부분입니다.
외운 후에 각 스케일이 주는 곡 분위기와 성향을 느낌으로 이해하고, 내가 쓴 곡의 분위기가 이렇다 할 때 적용할 수 있도록
연습하고, 진행을 외우고 하시는 편이 화성학 공부가 실제 작곡에 적용되는 길이라 생각합니다 .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