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첫마디 일부러 음을 마음대로 배치 해봤는데 코드심볼 표기시 멜로디구성음까지 포함해서 전체악보를 봐야하니까 첫마디는 베이스는 첫박에 도가 있고,멜로디에 미가 있고, 피아노와 기타에 솔이 있으므로 C라고 봐도되나요? 텐션은 코드심볼 표기시 생략하고..
=> 코드 표기를 위해서라면 C가 맞습니다.
2.두번째마디의 코드심볼은 베이스 첫박에 도이고,멜로디포함해서 나머지보니까 C의 3도 5도 모두 있으니 C로 보면 되지요?
=> 네. C가 맞습니다.
2.첫마디 악기들을 보시면 마음대로 하고, 두번째마디는 어느정도 생각해서 음을 배치 해봤는데,첫마디가 꼭 틀렸다라고는 볼 수 없지요?
=> 틀리진 않았지만, 연주해보시면 서로 어울리진 않을 겁니다. 피아노의 베이스 음과 베이스 기타의 리듬이 같은 음에서 서로 달라 엉키고, 간헐적으로 나오는 A 음이 서스테인 페달을 사용한다면 그리 이쁘게 어울리진 않을 듯 합니다.
3.멜로디의 텐션이던,나머지악기의 텐션이던 모두 코드톤으로 해결 해주는 것이 좋겠지요? 어보이드노트도 약박에서 사용하고 코드톤으로 해결해주고..
=> 해결이 꼭 필요한 거은 아니지만, 후에 나올때 해결해 주는 것이 안정감 있습니다. 의도적이 아니라면 화성학 대로의 해결이 정답입니다.
4.어떤 경우가 N.C (논코드)로 될 수 있나요?
=> 보통 N.C 를 쓰는 경우는 기타 악보에서이고, 이런 경우 N.C 로 쓸 근거가 부족하다 보입니다. 전부다 한음만 연주하거나, 코드를 구성할수 없는 다른 음을 연주하거나, 또는 작편곡자가 여긴 코드 필요없이 마음대로 비화성노트로 채우겠다 거나 등의 근건가 있어야 합니다.
5.세번째마디는 멜로디에 C의 1도,3도 있으니 5도는 생략했다 생각하고 코드심볼을 C라 적어도 될까요?
=> 멜로디의 강박에 충분히 C로 볼수 있는 음들이 있으니 C로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5도도 있내요.
한마디만 놓고 어떻게 편곡해야 하는지는 별 의미 없는 일인듯 합니다. 그리고, 계속 드리는 말씀인데, 멜로디를 놓고 편곡을 하시고 싶은건지, 편곡 악보를 놓고 코드를 표기하고 싶은신건지 먼저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
편곡을 하시고 싶은거면, 코드를 먼저 정하시고 나머지 악기를 채우는 방식에 대해 공부하시고,
저런 악보에 코드를 붙이시고 싶은신거면 강박에 있는 음들을 기준으로 코드를 붙이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