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작곡 : 박요한

글쓴이 : 박요한
등록일 : 2017-08-10
조회수 : 40
목록으로
다른질문...

1모든악기(보컬포함)봐서 길거나 많이쓰는음으로 코드심볼 표기하면 된다 하셨는데 제가 악보를 분석해도 어느정도 양이나 길이가 기준이 되는것도 모르겠는데요 .. 제가생각하기에는 어느 하나의 코드심볼이 있으면 첫박부터 시작해서 아르페지오든 한번에 바로 치던 어떤 형태로든 보이싱이 완성되면 그 후에는 스케일 안에서 마음대로 Lead fill 등을 넣는 것같은데, 보이싱이 완성되는 구성음을 보고코드심볼을 표기해도 될까요?

 

=> 말씀하신 내용도 맞습니다. 

 

2. 만약 보이싱을보고 코드심볼을 표기해도 된다면 각악기에서 마다  첫박부터 시작해서 코드심볼의 보이싱이 완성되어야 하나요? 아니면

어떤 하나의 악기만 보이싱이 만들어져도 될까요?

 

=> 코드를 잘못 이해하고 계신 것이, 각 악기마다 연주한걸 표기하는게 코드의 역할이 아니고, 이 마디에서는 이런 구성음을 가지고 연주를 하자가 코드입니다. 그러니 같은 마다에서 각 악기마다 다른 코드를 사용할 수는 없습니다. 또한, 악기의 특성상 

 

     모든 악기가 코드의 모든 구성음을 연주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모든 악기의 연주 음을 보고 코드를 분석하게 됩니다. 

 

지금 제가 쓰고있는것이 완전 틀린것일지도 모르겠네요.. 그런데  길고 양이 많은것으로 코드심볼을 표기한다는게 기준이 없으니 모호해서 도저히 감이 가지 않습니다. 그리고 제가 해외여서 전화를 드리기 어렵네요.. 너무 많은 질문 드려서 죄송합니다.


=> 많은 질문을 하시는게 잘못되거나 하진 않습니다.다만, 같은 내용으로 몇몇 단어만 바꾸어 질문하시고, 제가 드린 답변은 모르겠다, 이해가 안간다 하시고, 강의와 크게 상관없는 내용이 많아 답변 드리는 입장에서 답답하고 어려운 점이 있습니다. 

 

    제 강의는 작곡을 위한 것이고, 기본적으로 이론이 아닌 컴퓨터를 이용한 미디 작편곡을 위한 강의로, 코드 분석에 대한 모든 경우의 수와 이론적 배경을 하나하나 글로 설명드리기 어려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