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이론 (우재희)

글쓴이 : 우재희
등록일 : 2012-04-03
조회수 : 322
목록으로
그냥 궁금해서 그런데요...

제 친구가 자꾸 잼하자고 하는데... 저는 어떻게하는지 모르는데, 스케일 이용해서 하는건 알겠는데 어떻게 하는지 모르겠거든요? 이거 배우면 알수 있나요 ?(기초적인거라도;;)

--------------------------------[답변내용]--------------------------------

잼 하는 것이 무슨  뜻입니까? '같이 연주하다 ' 라는 은어 같은데 맞습니까?
 
어떤 것을 배우려는지 자세하게 올려봐요!


--------------------------------[답변내용]--------------------------------

이 강의의 세부진행 계획을 먼저 참고 바랍니다.
어떤 음악을 하던 간에 가장 바탕이 되는 음악원리를 강의합니다.
음정 계산법, 계명 익히기, 화성을 구성하는 원리, 코드가 주어질 때 그 조성에 포함되는 음과 포함되지 않는 음 구별, 선법적 음악(예:태왕사신기 주제곡)에 쓰이는 변화음, 리듬분할의 원리, 선율에서 변화음의 종류 찝어내기, 재즈화성의 원리와 코드 구성 등을 다루고 있습니다. 클래식 음악이거나 재즈음악이거나 모두에게 필요한 내용을 담았기에 ' Musical Synthetic Theory (통합음악이론) 라고 이름을 지었습니다. 수강 중 의문사항은 Q&A 문의게시판을 통해 도와드립니다.

--------------------------------[답변내용]--------------------------------

본 강의는 본격적인 화성학이 아닌 음악의 기초적인 영역들을 다룬 것입니다. 물론 일반적인 화성학 책들의 첫 부분(음정계산, 음계, 조성, 3화음 등..)의 이론이 포함된 것은 사실이지만 결국, 화성학의 주요 실습과정인 4성부 개리배치 작성은 다루지 않고 있습니다.

본 강의는 樂典부분과, 음악에 대한 적극적인 접근(음정계산, 계명읽기, 음향학적 이론, 지휘법, 선법, 재즈화성...등),약간의 음악사로 나눌 수 있는데, 그 내용을 기초부터 조금씩 심화시켜서 전문적인 영역까지 닿을 수 있도록 구성을 했습니다.

다시 말하면, 첫걸음부터 시작하여 음악기초이론, 화성학의 처음 ~ 1/3 의 단계인 7화음의 원리와 그 전위, 그리고 특별히 J a z z 화성의 원리와 음계구성을 수록하였습니다. 이 내용들은 곧바로 본격적인 화성학을 시작 할 수 있는 역량이 되게끔 구성해 놓았습니다. 즉, 기초이론부터 심화된 기초이론단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본인은 대학에서 10년동안 가르치면서, 참으로 한심한 사태들을 피부로 느낀 바, 음대 모든 전공분야의 대학입시를 준비하는 학생들과, 아마츄어지만 음악을 제대로 해보고자 하는 열정이 있는 분들에게 꼭 필요한 음악원리와 실전에 직접 활용할 수 있는 내용들을 넣었습니다. 명문대 작곡과 학생들조차 모르고 있는 내용들도 꽤 있습니다.
이 강의를 90% 정도 숙지하게 된다면, 음악기초이론에 있어서는 전문적인 수준에 도달할 것입니다. 또한, 본 강의는 학생들의 노력 여하에 따라 그 차이가 많이 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