왈츠풍의 박자
바이엘(하)
2주차시 2번째 강의에서
(책으로 바이엘<하>권 p.54 바이엘80번 곡)
1.
왼손 반주(쿵-짝-짝)
설명하실 때
2가지 케이스를 예를 드십니다.
1. 쿵-짝-짝 (모든 음에 스타카토 표시)
2. 쿵-짝-짝 (쿵-짝에 레가토 표시)
1번이 논레가토 주법이고 2번이 왈츠풍 주법인가요?
왈츠풍 주법이 따로 있는 것인가요?
2.
마찬기자리로 바이엘80번 곡에서
첫째 단의 1마디(라 -솔샵-라-시-라) 2마디(파 -미샵-파-솔-파)는 끝음에 스타카토 표시가 되어있고
두째 단의 1마디, 2마디와 똑같은 5마디 6마디는 끝에 스타카토 표시가 없는데 차이가 있나요?
3.
바비엘(하)p.55 가보트에서 첫째마디에서 왼손파트(D장조)
레 - 파,라 ----> 이건 1도화음이라는 것을 알겠는데
라 - 솔,라 ----> 이게 왜 5도화음인지 잘 모르겟습니다.
D장조에서 5도7 화음이 라,도,솔 이라는 것은 알겠는데
도가 빠진 라 - 솔,라 이게 왜 5도 화음인것 인가요?
4.
바이엘(하)p.55 가보트에서
어떤 음위에 가로 작대기가 그어져 있는데
이 걸 찾아보니까 테누토(음의 길이를 유지하는 것)라고 나와있는데
4분음표에 테누토 표시가 있으면 그냥 '1박자를 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되나요?
선생님께서 설명해주실 줄 알았는데 설명을 안 해주셔서 여쭤봅니다.
-------------------------------------------------------------------
늘 질문이 많아서 죄송해요...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