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선생님.
1.
체르니 p.54 <25번>관련해서 하나 더 질문이 있습니다.
10마디 왼손 부분에
중음이 이음줄 하나로 연결되어 표시되어 있잖아요
이때는 아래성부(미b-레) 윗성부(솔-파) 모두 연결하고
12마디 왼손 부분은
중음이 이음줄 하나로 연결되어있지만
아랫성부(미b-레)만 연결하여 연주할 수 있잖아요...
중음에 이음줄이 표시되어있는 경우 음들을 모두 연결할지 어느 한 부분만 연결할 지는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 맞죠?
2.p.57 <30번>관련해서도 질문이 있는데요
3,4마디 왼손, 오른손 모두 논레가토로 연주하는 것이 맞나요???
특히 왼손같은 경우 선생님께서 너무 자연스럽게 치셔서 잘 모르겠네요...
--------------------------------------------[답변내용]--------------------------------------------
안녕하세요?
중음의 이음줄의 경우, 경우에 따라 연주가 다르게 될 수 있습니다.
체르니 25번 10마디의 경우 중음의 아래부분에만 이음줄이 있으나, 이 경우 위-아래 모두 이어서 연주해주면 좋겠습니다.
악보의 기보(이음줄, 아티큘레이션 등)는 시대에 따라 정확성이 다릅니다,
현재 시점부터 과거로 올라갈수록 정확도가 떨어진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 당시는 작곡가들이 섬세하게 표시를 안 하는 경우도 많았으며, 왠만한 악기 연주자들은 음악적 이론 지식들이 많은 시대였기 때문에
관습적인 내용들은 많이 생략된 채 악보가 출판되거나 유통되었습니다.
그러나 시간일 흐를수록 악보에 자세하게 기보하여 작곡가 자신의 의도를 분명히 밝히는 흐름으로 바뀌어서 현대에 가까운 시대의 악보일수록 정확한 내용의 기보가 되어 있습니다.
또는, 악보에 많은 기호들이 기보되어 있지 않았으나 후세로 전해지면서 기보상 여러가지 내용들이 추가되기도 하였습니다,
(그래서, 출판사별로 약간 씩 기보가 다르기도 합니다. )
어떤 게 정확한 표기일까? 라는 의문을 갖기 보다는, 내가 잘 연주할 수 있는 버전은 무엇일까 ? 라는 고민을 하고 연주하시면 되겠습니다.
악보와 100% 같게 연주하기 보다 약간의 자유로운 자신의 해석(interpretation)을 조금씩 시도해보는 과정도 좋을 듯 합니다.
체르니 30번의 경우 거의 다 논레가토 주법으로 연주하였습니다.
좋은 질문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