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주차 및 교시 (교재/강의노트 관련된 질문의 경우 페이지도 적어주세요. ex,2주차 3교시 6분 50초 / 교재 23페이지)
: - 7: 20 분경
3. 질문 내용
:
안녕하세요?
이 부분에 특별히 1마디에는 엑센트, 2마디에는 스타카토를 따로 의식하지않고,
엑센트는 그냥 자연스럽게 치고 중요한 음이라 표시한거고,
2마디 스타카토도 그냥 무시하고 강약강약으로 치라고 하셨는데..
제가 질문 드릴꺼는 이걸 어떻게 판별할 수가 있나요??
제가 지금까지 체르니 배우면서 이런 구조들을 쳤던걸로 기억하는데 그렇다면
왜 특별히 이 악보에는 그런 표시라는걸 했을까요??
그리고 이게 순수 엑센트로 치지말고 자연스럽게 쳐라.
2마디의 스타카토 또한 강약강약으로 쳐라 이게
그 작곡가의 의도에 대한 선생님의 해석인지 아니면
그냥 악보대로 쳐도 상관없다는 것인지..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위의 곡을 인 템포 즉 메트로놈 기호 138에 맞춰 연주한다면, 2번째 마디의 스타카토는 위의 기호를 일부러 표현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스타카토 연주가 됩니다.
그리고 첫 마디의 악센트 또한 강조를 위한 뉘앙스 기호로 이해하면 좋구요~!
단어를 말할 때~< 야! 야~ 야~~ 얍! 얏! >이런 뉘앙스가 다르듯이 음도 뉘앙스적인 표현으로 기호를 적어넣는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1
악보에 있는 기호를 전혀 생각하지 말고 무시하고 연주하라는 설명이 아니라.
악센트는 약간의 강함의 뉘앙스로 첫 음을 강조하듯이 연주하면 되는데, 어차피 16분음표 네 음 중에서 가장 높은 음이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강조되는 듯 잘 들릴거고, 스타카토 부분 또한 일부러 그 음을 스타카토를 위한 스타카토 연주를 안 해도 자연스럽게 튀어오르는 느낌으로 소리가 들리는 것이 가능하기에~
좀 더 편하게 연주하시라고 설명(?)을 드린 부분으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악보에 있는 기호는 지키면서 연주를 하는 게 원칙이고, 그 뉘앙스를 곡의 상황에 따라 다르게 해석할 수 있을 수 있습니다.~
잘 지켜서 연주하도록 해주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