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10마디 부터 걸쳐있는 cresc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이 cresc가 12마디까지 걸쳐있는데 결국 그럼 12마디부터 cresc를 적용하라는 의미로 보입니다.
그런데 설명 해주셨듯이, 어떠한 마디부터 걸쳐서 존재한다는 것은, 그 마디부터 점점세개 하라는 의도만을 의미하는것은 아니라면,
예컨데 10마디 부터 cresc를 자유스럽게 해석하라는 의미인가 아니면 10마디 부터 cresc가 진행될 조짐이 보이니, 여기서부터 점점 준비하고 있으라 라는 의미인가..? 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개인적으로도 무조건 셈여림 기호가 등장했다고해서 딱 그 부분부터 그렇게 적용시키고 있지 않고, 선생님이 말씀하신 음률에 따라서 그렇게 하고있는데
만약에 cresc가 적혀있으면 어떤마디는 정말 그부분을 강조해야하는 경우도 있잖아요? 근데 이와같은 경우, 10마디부터 cresc가 적용된것에 대해서,
그러면 딱 12마디만 cresc를 적용하면 되지 왜 10마디부터 cresc ------------------- 이렇게 표시가 된 작곡가의 의도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우선 이 곡의 크레센도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9마디의 셈여림은 피아노이고, 그 다음 셈여림은 13마디의 포르테입니다.
중간 10마디~12마디는 크레센도 표시가 있구요.
그렇다면 3마디데 걸쳐서 p-mp-mf 로 커지면서 연주하면 크레센도가 적용이 되는 것이지요.
그리고 교재에서 악보 1로 제공된 헤어핀 셈여림은 음형에 따른 소극적인 셈여림 기호로 해석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1-8마디까지의 전체적 셈여림은 포르테인데, 그 분위기를 유지하며 음형에 따라 약간씩 셈여림을 구사해 보시면 좋겠다는 의미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