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소폰 : 송용재

글쓴이 : 송용재
등록일 : 2016-06-13
조회수 : 71
목록으로
minor스케일 질문요.

음악의 기초가 많이 부족한 일인입니다. 이해하시고 질문에 답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질문1. 조표가 없는 경우 major에서는 C majo라고 명칭하는데 minor에서는 왜 A 라고 하나요?

 

질문2. 왜 마이너스케일에서 황성 단음계는 3, 6째 음에 플렛이 붙는다고 그랬는데 실제 2주차 1교시를 보면 7번째 음(높은 솔)에

         샵이 붙는데  이건 왜 이렇죠.  이해가 않됩니다.  다른 마이너스케일도 모두 이해를 못하겠습니다.

 

질문3. 일반적으로 노래의 악보나 음악을 듣고 어떻게 메이저곡인지 마이너 곡인지 알수 있는지요.

      실제로 전 샵이 하나 붙으면 G메이저인줄만 알았는데 마이너는 다른 모양이더라구요.

 

      더나가 음악만 듣고 어떤조의 곡인지 알고 악보없이 섹소폰을 연주하시는 고수님들이 계시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어떤 연습을 많이 해야하는지요

     (음악적인 기초가 너무 부족해서 ..  ㅠㅠ)

 

질문4. 아르페지오연습이나 마이너스케일 연습이 나중에 애드립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도 강의에서 조금이라도 실전곡에

      예시로 들어 설명 해주셨으면 이해가 쉽고 의욕이 생길건데 그냥 스케일 연습하라고 하니 어렵기도 하고

       의욕도 많이 떨어집니다.

 

음악에 대해 기초가 아주 부족한 한 사람이 섹소폰을 잘하고자하는 의욕만 앞서 궁금한게 많네요. 이해하시고 혹여 이해가 쉽게 될수 있는 자료가 있으면 같이 부탁해도 될련지요.  죄송합니다.

 



--------------------------------------------[답변내용]--------------------------------------------

안녕하세요 색소폰 강사 송용재입니다~ 답변이 조금 늦어서 죄송합니다 ^^;;​




1.모든 스케일은 시작음을 기준으로 정해지는데 같은 조표를 사용하는 스케일에서 minor는 major의 3도 아래에서 시작하기 때문입니다 ^^ 

 

2. Major 스케일을 기준으로 마이너를 만들경우 3,6번째가 플랫이 되고,

그렇게 만들어진 마이너스케일에서 화성단음계에서는 7번째음이 # 되기때문입니다 ^^

 

3. 보통 저같은 경우는 음악을 들어보면 메이져 곡인지 마이너 곡인지 느낌으로 파악이 되는데요.. ^^;; 어떤조인지 파악을 하기위해서는 많은 음악적 경험에 의해서 생기는것입니다. 그리고 음감이 상대음감이냐 절대음감이냐에 따라서 사람마다 다릅니다.

 

4.색소폰 연주를 할때 즉흥연주라던지 화려해보이는 기술은 시간과 노력에 의해서 생기는것 같습니다.

저도 오랫동안 음악을 해오면서 느낀점은 기초적인 부분을 반복적으로 연습을 하고 반복적으로 연습한 부분을 나 혼자 스스로

응용을 해본다던가 이렇게 해야지 많이 도움이 되더라구요.

제가 강의에서 보여드리는 부분은 아주 기본적인 부분들이 많습니다만 사실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즉흥연주는 특히나 펜타토닉,마이너,블루스,아르페지오등등 이런부분들에 막힘이 없이 된다면 혼자서 이렇게 저렇게 불어보면서

좋은 애드립이 생각난다면 악보에 사보하면서 머리속에 입력하고 익히는게 가장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연습하시디가 막히시는 부분이 있다면 이렇게 자꾸 질문하시고 연습하시면 좋은 결과가 있을것 같습니다!!!!

열연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