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이론 : 이로운

글쓴이 : 이로운
등록일 : 2014-11-28
조회수 : 46
목록으로
선생님~~ 선법 관련해서 질문 드려요^^

안녕하세요! 
우선 강의 너무 잘 듣고 있어요ㅎㅎㅎ. 

선법강의 듣다가 질문 드리는데요.
- 정격선법에서 도리아선법의 증4도를 완화하기 위해서 4도를 내려 에올리아 선법이 고안되었는데 에올리가 선법에서도 결국 5,6,7,8 음이 증4도 아닌가요? 도리아선법이 중간쯤에서 증4도가 나타나기 때문에 이를 피하기 위해 뒤쪽으로 증4도를 옮긴 것인가요? 

- 또한 하이포도리아 선법이 결국엔 에올리아 선법하고 음계는 같은데 종지음 때문에 다른 음계로 구분되는 것인가요? 

- 음계마다 증4도가 포함되는 음계들이 꽤나 많은데 현대음악에서는 이를 조표를 표시하여 구성하고 있나요? 하지만 현대 음악에서는 이 음이 중세시대에 악마의 음으로 고려되었던 것과 같이 여겨지지는 않는 것지요? 

공부하다 보니까 질문들이 꽤나 많네요ㅎㅎ. 
좋은 강의 해주셔서 너무나 감사드리구요. 또 질문이 있으면 여쭙겠습니다. 




--------------------------------------------[답변내용]--------------------------------------------

안녕하세요 susie 수강생님.

이론적으로 깊이 생가하시다보면 susie님 같은 궁금증이 생기기 마련입니다.

- 정격선법에서 도리아선법의 증4도를 완화하기 위해서 4도를 내려 에올리아 선법이 고안되었는데 에올리가 선법에서도 결국 5,6,7,8 음이 증4도 아닌가요? 도리아선법이 중간쯤에서 증4도가 나타나기 때문에 이를 피하기 위해 뒤쪽으로 증4도를 옮긴 것인가요? 

답변:
에올리아선법은 라-라로 끝나는 선법으로 5~8음이 증4도가 아닙니다.
도리아 선법에서는 파-시가 증4도이기 때문에 이를 완화하기 위해 4도 아래로 내려 선법을 완성하였고,
이는 도리아 선법에서 제6음인 B에 b을 추가한 것으로 미루어 알 수 있습니다.
증4도를 피하기 위해 Bb을 붙였지만, 이를 4도 아래 A를 종지음으로 하여 나타내면 자연스레 임시표 없이도
같은 구조를 표현하는 선법이 완성된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알았던 것입니다. 그래서 탄생한 것이 에올리아선법
(이오니아도 마찬가지)입니다.

- 또한 하이포도리아 선법이 결국엔 에올리아 선법하고 음계는 같은데 종지음 때문에 다른 음계로 구분되는 것인가요? 

답변:
맞습니다. 종지음이 중요합니다.
음의 구성은 같아도 어느음으로 시작하고 끝나느냐는 중요합니다. 이는 조성에서도 마찬가지이죠.


- 음계마다 증4도가 포함되는 음계들이 꽤나 많은데 현대음악에서는 이를 조표를 표시하여 구성하고 있나요? 하지만 현대 음악에서는 이 음이 중세시대에 악마의 음으로 고려되었던 것과 같이 여겨지지는 않는 것지요? 

답변:
현대음악은 더이상 중세시대의 헤게모니(?)를 가지고 바라보지 않습니다.
현대음악은 조성뿐만아니라 탈조성,무조성 등 여러가지 조성 및 음계체계를 포함합니다.
오히려 증음정을 즐겨쓰기도 합니다.

답변이 되셨나요?

공부하다 보니까 질문들이 꽤나 많네요ㅎㅎ. 
좋은 강의 해주셔서 너무나 감사드리구요. 또 질문이 있으면 여쭙겠습니다. 

답변:
이런말씀해주실 때마다 엄청 뿌듯하답니다. ^-^ 하하하~

앞으로도 계속 사랑해주세요!

끝까지 함께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