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화성학 수강중인 수강생입니다.
메이저와 마이너에 대한 강의를 보고 난 후
좀 더 많은 정보를 알아보려 인터넷을 뒤적여봤지만 궁금증이 남아있네요.
정확히는 마이너 스케일이겠네요.
1. 마이너스케일은 언제 사용되나요?
- 제 머리로는 코드를 이용한 화음을 낼 때 사용된다는것외에는 달리 생각나는게 없네요.
2. 마이너스케일로 이루어진 곡이 있나요?
- 예를들면 CM(씨 메이저)는 으뜸음이 "C" 가 되지만
Am(에이 마이너)는 으뜸음이 "A" 가 되잖아요.
둘 다 조표가 없는데도 메이저와 마이너의 차이로 으뜸음이 달라지는데
마이너일경우 곡을 연주할때도 마이너스케일로 연주해야 되는건가요?
3. 마이너스케일로 이루어진 곡이 있다면
악보만 보고서 해당곡이 메이저스케일인지 마이너스케일인지 구분하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답변내용]--------------------------------------------
수강생님 반갑습니다.
1. 마이너스케일은 언제 사용되나요?
마이너스케일의 반대 개념은 메이저스케일입니다. 예를 들어 CM가 있다면 병행조인 am가 있지요
여기서 am가 마이너스케일이 됩니다.
곡을 쓸 때, 메이저로 쓸 것인지 마이너로 쓸 것 인지를 결정하게 됩니다.
즉, 작곡하는 주체가 나는 마이너스케일(단조)로 진행을 하겠다, 하면 마이너스케일이 되는 것이고,
나는 메이저스케일(흔히 말하는 장조)로 진행을 하겠다 하면 메이저스케일 즉 장조가 되는 것이지요.
언제 사용되나라기 보다는 작곡가가 처음에 곡을 어떻게 끌고 나갈지 결정하게 되는 것입니다.
보통은 마이너스케일은 우울감(사실 전 적절치 않은 비유라고 생각합니다만)이나 슬픈 느낌의 곡을 만들 때,
반대로 행진곡에도 많이 쓰이게 됩니다.
2. 마이너스케일로 이루어진 곡이 있나요?
- 예를들면 CM(씨 메이저)는 으뜸음이 "C" 가 되지만
Am(에이 마이너)는 으뜸음이 "A" 가 되잖아요.
둘 다 조표가 없는데도 메이저와 마이너의 차이로 으뜸음이 달라지는데
마이너일경우 곡을 연주할때도 마이너스케일로 연주해야 되는건가요?
네 맞습니다. '같은' 조표를 쓰지만 '다른' 조성이라는 것이 핵심입니다.
위에 예시를 드신 병행조에서 메이저와 마이너의 다른 점은 무엇입니까? 으뜸음이 다르고 음의 구성도 다르지요. 반음의 위치도 다르고... 그 때문에 스케일에 있어서 소리 자체도 아주 다른 소리가 납니다.
하지만 마이너 곡이라고 꼭 마이너스케일만 연주하는 것은 아니고 메이저-마이너를 왔다갔다 하면서 연주/
작곡 되기도 한답니다.
3. 마이너스케일로 이루어진 곡이 있다면
악보만 보고서 해당곡이 메이저스케일인지 마이너스케일인지 구분하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종종 질문주시는 부분인데 제 인터넷 강의 중에서도 조성 찾는 법에 대한 설명이 있습니다만,
다시 말씀드리면 가장 중요한건 '첫음과 끝음'. '반음관계가 붙은 위치'를 따져보시면 90%이상 맞힐 수 있습니다. 나머지 10%는 선율관계를 따져서 알아봐야 합니다.
앞서 예를 드신 CM와 am는 어떻게 구분할까요?
우선 메이저는 도~도로 끝나는것이 상식적이고 (물론 아닐때도 있습니다만 일반적인 경우에)
마이너는 라~라로 끝나겠지요. 우선, 이를 살펴보시고 그래서 헷갈리실 때는
반음이 어디 붙는지 (메이저라면 강의때 말씀드린것처럼 3-4 7-8 즉, 미-파, 시-도에 반음이 붙고
마이너라면 화성단음계의 경우 2-3 5-6 7(#)-8 즉, 시-도 미-파 솔#-라에 반음이 붙는 선율이 전개되겠지요)
문자로 쓰려니 답변에 시간이 좀걸렸는데,
이해 잘 하시리라 생각합니다.
끝까지 함께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