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조악기에서요 클라리넷 Bb 조에서요 높은음자리표의 도가 왜 Bb 이에요?? 내림나장조는 시가 도 아닌가요??? ㅠㅠ 너무 설명이 어려워요 ㅠㅠ 무슨말씀인지도 하나도 모르겠어요 ..ㅠㅠ
--------------------------------------------[답변내용]--------------------------------------------
수강생님
설명이 어렵다기보다 이 부분 자체가 개념정리가 소홀히 되면 한없이 어렵게 느껴집니다.
이해하고 보면 너무 쉽습니다.
이조악기라는 것은 말그대로 조가 다른 악기입니다. 우리가 보통 악보를 볼 때 가온'도'가 있으면 피아노 건반 가온'도'를 누르면
실제 소리(실음) '도'가 들리게 됩니다. ( 당연한 얘기겠죠 )
그런데 Bb 클라는 (여기서부터 집중해보세요) 그 이름안에 내포해 있는 뜻이 '나는 장2도 낮게 연주된다' 입니다.
즉 위에서 언급한 가온'도' 를 악보에 그려넣고(기음) Bb클라리넷으로연주를 하면 실제 소리나는 음은 무슨음일까요?
Bb소리가 납니다 가온다 바로 아래의 Bb이요.
네, 맞습니다. Bb (이유는요?->아까 언급했듯, '나는 장2도 낮게 연주된다'이기 때문에..)
자, 문제입니다.
그럼 피아노와 Bb클라리넷이 이중주를 하는데 피아노와 Bb클라가 다장조 상에서 똑같은 가온 '도'를 연주하려면
악보에다가 어떻게 기입하면 좋을까요? 참고로 피아노는 다장조보표, 클라리넷은 라장조보표를 사용하게 됩니다.
(큰 힌트가 될 수도 있겠네요)
강의중에도 나오지만 한번 풀어보시고 답글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이해하셨길 바라며.
참고로, A클라의 뜻은? '난 악보에서의 음보다 실제 소리가 단3도 낮게 연주된다. 그러므로 내가 그 소리를 내기 위해서는
악보에 단3도를 올려서 그려라' 입니다.
끝까지 함께 해요!
문제 답변 할께요~~
Bb 클라는 라장조 보표에서 가온도 의 소리가 날려면 라장조보표에서 다 인 시 자리에 그리면 되는거 맞나요?
--------------------------------------------[답변내용]--------------------------------------------
수강생님
자꾸 보다 보니 저도 헷갈릴려고 그러네요;; 쿨럭.
문제의 답은 라장조의 '레'입니다. 제가 동영상을 다시 찾아봤는데
9분부터 시청하시면 질문의 답이 나옵니다... (한번 다시 시청해보세요)
자 문제에서는 조성이 다장조라고 했습니다. 피아노는 실제로 다장조의 조표를 쓰고 있고, 클라inBb악기는
똑같이 다장조 조표를 쓰면 앞서 설명드린 '나는 장2도 낮게 연주된다'이론(?)에 따라 Bb으로 연주가 됩니다. 피아노는 도를 누르면 도가 연주되고 클라는 시b을 연주하게 된다는 거죠.... 똑같은 음을 그렸을때는 말입니다.
그러면 클라가 도를 연주하게 하려면 어떡해야 할까요? 피아노와 같은 도를 연주하려면요. 장2도를 올려야 겠지요?
그래서 악보에 장2도를 올려서 레를 그려주면 클라가 '레'를 부는 것이 아니라 '도'를 불게 됩니다. 이부분이 이해가 안가시나요? 더 쉽게 설명을 드리고 싶은데 저의 한계인가봅니다;.
이부분이 한번 꼬이면 한없이 헷갈립니다. 너무 헷갈리시면 제가 강의노트에 기보법 참고해보세요. 그것 보고 그대로 하시면 됩니다. 클라인Bb은 기보할 시, 장2도 올려 기보하라고 써놓았지요? 그렇게 그리시면 연주때 정확히 연주가 된답니다. 혹시 주변에 클라리넷 연주자가 있다면 가장 정확히 확인하실 수 있으신데 그게 어렵다면 본 사이트에서도 클라리넷 선생님이 계신 것으로 아니 연주자 선생님께서 더 명쾌하게 도움 주실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이조악기에서요 클라리넷 Bb 조에서요 높은음자리표의 도가 왜 Bb 이에요?? 내림나장조는 시가 도 아닌가요??? ㅠㅠ 너무 설명이 어려워요 ㅠㅠ 무슨말씀인지도 하나도 모르겠어요 ..ㅠㅠ
우선 기음과 실음의 개념에 대해서 정확히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그게 이조악기에 대한 이해입니다. 그것이 된 상황이라는 전제에서 답변드리자면,
내림나장조에서는 시b이 도가 맞습니다. 그런데 클라리넷은 이조악기입니다. 즉, 조옮김을 해서 읽어야 하는 악기라는 것입니다. 설명이 어렵다기 보다는 이 챕터 자체가 좀 어렵긴 합니다. 너무 어려우시면 기보법만 정확히 알고 계세요. 이해가 안된다면 외우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그렇게 하시다 보면 반드시 깨닫는 순간이 있습니다! 저도 어려운 부분은 그냥 외우다 나중에 깨달은 적이 많습니다. 그리고 강의 시청을 차분히 다시 해보시기 바랍니다. 자신을 믿으세요!
끝까지 함께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