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음악이론 1주차 2교시 강의에서 B(베, 독일에서는 b플렛 이라고 한다고 했습니다.) 이 때 독일에서 말하는 b플렛은 B플렛 메이저를 말하는 것인가요? b플렛 마이너를 말하는 것인가요?
2. 음악이론 1주차 3교시 강의에서 수학에서 나오는 절대값 모양처럼 생긴 작대기 2개가 있는 것에 온음표를 넣게 되면 이는 8박자를 의미한다고 하셨습니다. 그렇다면, 작대기가 두 개가 있는 것에 2분음표를 넣게 되면 4박자가 되고, 4분음표를 넣게 되면 2박자가 되게 되는 것인가요?
3. 음악이론 2주차 1교시 강의에서 피아노로 음고를 설명하실 때, 음정이 높아질 때는 도 도# 레 레# 순으로 올라가야 되면 이 때 레#은미플렛으로 표기하면 안 된다고 하셨습니다. 그렇다면 , 음정이 내려 갈 때는 도 시 시플렛 라 라플렛 이런 순으로 내려가게 되는 것이고 이 때는 표기 할 때 #으로 나타내면 안 되는 것인가요?
4. 음악이론 6주차 3교시에서 버금딸림음(Subdominant key) : 원조를 기준으로 완전 5도 아래의 조성을 의미한다고 하셨습니다. 예로 C 와 F 의 사례를 들어주셨습니다. C에서 완전 5도를 내리면 F가 된다는 것까지는 이해를 했습니다. 그런데, 이 개념은 C로부터 4도를 올려도 F가 나오므로 C에서 완전 5도를 내린 것과 같은 결과가 나온다고 하셨습니다. 여기서, 버금딸림음이란 개념은 원조로부터 완전4도를 올린 개념으로 봐도 무방한 것인가요?
5.음악이론 7주차 2교시에서 dominant 7th chord를 알려주시면서, 사례로 조성이 CM일 때는 Ⅴ7은 (음이름) 솔 시 레 파 , Ⅴ9 (음이름) 솔 시 레 파 라 라고 하셨습니다. 그러다가 또 다른 사례로 Ⅴ7을 라 도# 미 솔, Ⅴ9 라 도# 미 솔 시 을 언급하셨습니다. 이 때의 조성은 DM가 되는 것인가요?
--------------------------------------------[답변내용]--------------------------------------------
수강생님
1. 음이름 B(독)는 Bb(영), H(독)는 B(영) 입니다. 그러므로 B는 영어의 Bb입니다 조성이 아닙니다. 조성은 dur/moll(장/단조)fh
표기합니다.
2는 그렇지 않습니다. 온음표에 기호가 붙었을 때만 의미가 있지 2분음표나 4분음표에 붙는 기호가 아닙니다.
3은 보통 그렇습니다. #은 상행하려는 속성, b은 하행하려는 속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4. 완전5도 내렸을때 나오는 음으로 개념정리하시는 것이 옳습니다. 완4는 편의상 그렇게도 보인다는 이야기고, 그렇게 착각하는
학생들이 많다는 이야깁니다.
5. 맞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