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양식대로 질문 해 주시면, 보다 빠르고 정확한 답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1. 수강중인 과목 및 난이도(ex, 경이로운 음악이론 화성학 [초급+중급])
:
2. 주차 및 교시 (교재와 관련된 질문의 경우 교재 페이지도 적어주세요. ex,2주차 3교시 6분 50초 / 교재 23페이지)
:
3. 질문 내용
: 샘 !
조표에 파# 도#이 있으면
D major 또는 b minor 로 가능하잖아요
그 다음에는 어떤걸로 Dmajor인지 b minor 인지 판단하나요나단순히 궁금해졌습니다
악보에 키가 안써져있을때
수강생님,
조성이 중간에 바뀔 경우 그럴 수 있지요. 우선 다른 조에서 전조된 상태라면 여전히 1)파와 도에 #이 임시표로 붙어있는지를 확인합니다. 2)종지부분을 살펴봅니다. 즉, V-I관계를 살펴서 라-도#-미-(솔)의 형태 다음에 레-파#-라 가 나타나거나 3)이러한 진행이 빈번히 나타난다면 전조가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단조에서는, 파#-라#-도#-(미) 에서 시-레-파#로 가는 진행이겠지요. 조성을 확립하는 조건 중 종지가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역으로 종지 관계를 찾으면 조성파악이 쉽겠지요. 혹은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계이름으로 시-도의 관계를 찾으면 좋습니다. D장조에서 시-도는 음이름으로 도#-레 이니 이 관계가 자주 혹은 중요한 순간에 (주로 종지) 나타난다면 이 또한 D장조일 수 있는 단서입니다. (단조에서는 라#-시) 4)마지막으로 멜로디를 가지고 알아내는 것인데 멜로디가 주로 D장조 b단조의 스케일(음계)를 따르고 있다면 그 조성일 확률이 높습니다. 이는 다른 모든 조성에도 적용됩니다. 하지만 머리로 아는 것과 악보를 보고 실제로 이를 구분할 수 있는 것과는 괴리가 크니 악보를 읽는 연습이 필요할 겁니다.
끝까지 함께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