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양식대로 질문 해 주시면, 보다 빠르고 정확한 답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1. 수강중인 과목 및 난이도(ex, 경이로운 음악이론 화성학 [초급+중급])
: 경이로운 음악이론
2. 주차 및 교시 (교재와 관련된 질문의 경우 교재 페이지도 적어주세요. ex,2주차 3교시 6분 50초 / 교재 23페이지)
: 3주차 2교시
3. 질문 내용
안녕하세요 영상보면서 필기하다가 몇가지 궁금점이 생겨 질문합니다
1. '반음2개=장2도, 반음4개=장3도' 이런식으로 '반음6개=증4도' 성립이 되는건가요? (어떤때에 대입해도)
2. 반음8개가 단6도인데 이게 증5도이기도 하나요?
3. 장2.3.6.7이 겹감까지 갈수 있나요?
4. 완전1.4.5.8이 단까지 갈수 있나요?
5. 강의자료중에 '증4도=온음3' 인데 '감5도=온음2+반음'2 라고 적혀있는데요
저게 감5도는 온음3가 아닌건가요? 아니면 온음3도 되는건가요?
답변합니다.
1. '반음2개=장2도, 반음4개=장3도' 이런식으로 '반음6개=증4도' 성립이 되는건가요? (어떤때에 대입해도)
네 언급한대로라면 어떠한 경우도 맞습니다. 그러나 사용자가 잘쓰지 못할경우 에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반음관계가 6개 들어있는데 여기서 반음은 scale안의 반음관계가 아니라 (예 C장조의 scale(음계) 미파 시도 2개)피아노 건반 속 반음들이죠? 또한, 반음6개들은 것이 증4도는 반드시 성립을 하나 사용자나 출제자 등이 도-파#이라고 읽지않고 도-솔b로 읽거나 그렸다면 그안에 6개의 반음들이 들어가 있지만 감5도로 읽을 수도 있죠.
위의 두경우를 헷갈리지 않거나, 제대로 이해한 경우 (scale에서의 반음갯수가 아닌 피아노 건반상의 반음갯수, 이명동음의 완벽한 이해)는 가능합니다. 하지만 위의 두 전제가 헷갈리신다면 스스로 조금 힘들 수 있습니다.
2. 반음8개가 단6도인데 이게 증5도이기도 하나요?
맞습니다. 앗, 이 질문을 먼저 봤다면 이미 1의 질문의 답을 이해하셨다고 볼 수 있었네요. 맞습니다.
3. 장2.3.6.7이 겹감까지 갈수 있나요?
이론상은 가능할 수 있으나 실질적으로 곡에 쓰일 가능성은 매우 적습니다.
특히 장2도는 단2도에서 더 내려간다면 사실상 감2도라고 칭하면 도-도... 관계가 되기 때문에..
장단 2367로 기억하시면 좋겠습니다. 이론상 장-단-감-겹감...의 순서를 갖고 있긴하죠.
4. 완전1.4.5.8이 단까지 갈수 있나요?
단4도 단5도 이런 것은 없지요. 강의에 보시면 완전은 장단을 거치지 않습니다.
5. 강의자료중에 '증4도=온음3' 인데 '감5도=온음2+반음'2 라고 적혀있는데요
저게 감5도는 온음3가 아닌건가요? 아니면 온음3도 되는건가요?
위 1,2와 같이 스케일(음계)이 아닌 맥락에서는 온음3이 증4이자 감5도입니다.질문으로보아 이것때문에
혼란이 온 것 같네요
반음관계 따지는 것이 헷갈렸을 것 같은데 결과적으로 온음3개=온음2반음2개가 같은 것이란 건 아실겁니다.
하지만 증4도는 스케일상에서 예를 들면 C장조의 도-레 레-미 미-파# 이렇게 세개의 온음이 있지요.
도-레 레-미 미-파 파-솔b 이렇게 보면 감5도입니다 즉, 스케일(음계)상으로 반음관계를 따지면 질문처럼 다르게게표현될 수 있습니다.
끝까지 함께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