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양식대로 질문 해 주시면, 보다 빠르고 정확한 답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아래에 답변 드리겠습니다.
1. 수강중인 과목 및 난이도(ex, 경이로운 음악이론 화성학 [초급+중급])
: 경이로운 음악이론
2. 주차 및 교시 (교재와 관련된 질문의 경우 교재 페이지도 적어주세요. ex,2주차 3교시 6분 50초 / 교재 23페이지)
: 9주차 1교시
3. 질문 내용
: 안녕하세요
종지는 마침표라는 강의를 듣다가, 강의나 프린트물 예시를 보면 화음이 4개잖아요
그 화음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잘모르겠어서요
59p [완전종지]의 경우 솔-파-솔-시 -> 도-미-솔-도 이렇게 되어있는 부분이 있다면
이 4화음이 어떻게 쌓인건가요?
V7이라면 솔-시-레-파(?) 이고, I 이면 도-미-솔인데
이게 어떻게 솔-파-솔-시 , 도-미-솔-도 가 되는지 이부분이 이해가 안갑니다.
그리고 솔-파-솔-시 가 있다면, 맨아래음이 왼손이고 위의 3화음이 오른손인건가요?
-> 예를 들어 V7 화음의 구성음은 솔시레파가 맞습니다. 이를 가지고 보통 4성부 (소프라노, 알토, 테너, 베이스)에 분배를 할 때 베이스' 솔'을 제외한 시레파 를 가지고 각 다른 파트에 음을 나눠 넣습니다. 이중에서 강의에서 언급했던 3음중복 금지 혹은 5음과 근음 중복 가능 등의 법칙을 통해 예를 들어 소프라노에 '솔', '시', '레', '파'' 등의 음을 모두 넣을 수 있으며 만약에 소프라노(S)에 솔을 넣었다면 나머지 알토와 테너에 시와 파가 반드시 들어가야 하겠지요.
즉, 구성음은 언급한 솔시레파가 맞지만 각 파트를 구성하는 음은 반드시 그 순서에 맞아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베이스만 전위에 따라 자리가 정해져있고 위로 음을 쌓을 때는 어떤 음이든 화음내에서 가능합니다. 그래서 솔파솔시, 도미솔도가 가능한 것입니다.
또한 음의 구성의 위치에 따라 보통 맨 아래음(베이스)이 왼손이고 나머지 윗3성을 오른손으로 치거나 베이스와 테너를 같이 왼손으로 치고 나머지 위의 알토, 소프라노를 오른손으로 치기도 합니다. 이는 배치나 악보상에 사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끝까지 함께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