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이론 : 이로운

글쓴이 : 이로운
등록일 : 2021-12-30
조회수 : 44
목록으로
딸림 7화음 전위 문제풀이 중에 질문입니다

아래 양식대로 질문 해 주시면, 보다 빠르고 정확한 답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1. 수강중인 과목 및 난이도(ex, 과목명 [초급+중급])

:  경이로운 화성학 상편


2. 주차 및 교시 (교재/강의노트 관련된 질문의 경우 페이지도 적어주세요. ex,2주차 3교시 6분 50초 / 교재 23페이지)

:  8주차 딸림 7화음의 전위 문제풀이 / 교재 133페이지


3. 질문 내용

:  베이스 선율로 화성 분석하는 부분에서 질문이 있는데요.

18분 15초 부근에 3 #4 라고 써있는 부분을 V(5도)의 3전위라고 분석해주셨는데 어떻게 해서 그렇게 되었는지 궁금합니다.

처음에 제가 생각했을땐 3.4 이기에 2전위로 생각했었는데 교재 앞을 보니 a마이너 조에서는 4에 #이 붙는건 제3전위더라고요.

그런데 제 3전위는 2, #4, 6 으로 표기하는데 3, #4랑은 맞지 않는 부분이 있는데요.

단순히 화성 진행상으로 5도로 해석하는건가요?

어떤 표기로 봤길래 5도로 해석되었는지 궁금합니다.

해제집에서는 3,4표기로 보고 2전위인 7(vii)도로 해석했는데요. 그렇게되면 4에 #이 붙은건 단순히 선율적인 측면에서 넣은건지도 궁금합니다.

5도로 해석한다면 단순히 7음인 레와 4에 #이 붙었기 때문에 3전위로 분석하게 되는건지 그렇게 되면 아래에 딸려오는 3은 무슨 의미인지도 알고 싶습니다.

분석 기준이  너무 헷갈리네요. 






수강생님,


말씀하신 영상 살펴보았는데, 이는 저의 오류가 맞습니다. 

보통의 경우 표기상 24가 있다면 3전위, 34가 있다면 2전위 즉, 이해하신 것이 맞습니다. 

강의 내용이 이해한 바와 달라 고민이 많으셨을 텐데 혼란을 드려 죄송합니다.

다만, 제가 실수를 한 과정을 살펴본다면,

바로 앞에 I 의 46화음 즉 2전위가 있었고, 2전위는 화음 자체가 기능이 약하기 때문에 연속으로는 사용하지 않게 됩니다. 

그런 흐름에서 제가 당연히 24로 (3전위) 여기고 진행했던것 같습니다. 

본 문제는 3마디에서 VI로 허위종지가 이뤄진 후 4마디부터는 넓게 보아 V 가 있고 마지막 마디에 i이 된 형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i46은 표기상은 i의 2전위이지만, 사실상은 V46입니다. 여기서 46은 V의 2전위가 아니라 V의 35 (기본위치)로 가기 위한 3음 5음이 4와 6 에서

왔다는 뜻입니다. (a minor 본 악보에서는 미 라도-> 미 솔#시로 가는 흐름) 이를 화성학의 숫자저음은 I46 (미라도)로 표기하고 있지만, 실질적인 화성의 기능은 V로 가기 위해 라,도가 비화성음으로 쓰인 것입니다. 

정리하면, I46보다는 V46으로 표기하되, 46을 원숫자로 표기하는 것이 곡의 흐름에는 더 정확한 표기가 될 것입니다. 

(표기에 있어서는 앞으로 비화성음 등을 다루실 때 저 넓게 이해하실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 문제는 이미 베이스 선율이 정해져 있는 것이므로 표기된 숫자저음에 따라서 분석 및 풀이를 하는 것이 맞습니다.

또한 이렇게 풀이를 할 수 있는 근거는 제 강의 전반을 통해 이해하셨겠지만, 아무리 주3화음이더라도 2전위는 그 화음의 특징을 나타낼만큼 확실한 색을 나타내는 화음이 아니기 때문이라는 것과 vii 화음 자체가 종지를 향해가는 화음의 역할을 한다는 전제가 있기 때문입니다. 

18분 이후의 부분에 대해서는 추후 운영진 측에 가능한 선에서 정정표기 요청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끝까지 함께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