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양식대로 질문 해 주시면, 보다 빠르고 정확한 답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1. 수강중인 과목 및 난이도(ex, 과목명 [초급+중급])
: 화성학 상
2. 주차 및 교시 (교재/강의노트 관련된 질문의 경우 페이지도 적어주세요. ex,2주차 3교시 6분 50초 / 교재 23페이지)
: 7주차 14강 29분 / 교재 114페이지
3. 질문 내용
: 제가 업로드 한 A,B,C.D,E,F 와 같이 배치를 어떤 원칙에서 이렇게 배치를 한건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배치 자체만 놓고 본다면 이해가 되는데 저 혼자 배치를 한다면 과연 이런 배치를 스스럼 없이 할수 있을 것 같지 않습니다
수강생님,
화면이 상당히 깨져 있어서 정확히 보이지는 않지만, 질문에 근거하여 그리고 흐릿하게 보이는 배치를 보며 답변 드리면,
그냥 수직적인 배치만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수평적인 것도 고려하면서 보시면 오히려 편하실 수 있습니다. 4성부가 오른쪽으로 계속 음이 흐르겠지요? 첫 4음을 배치해 놓고 (이건 이해라기 보다는 4성부간 배치에 대해서 우리 배웠었지요? 상3성은 8도 이내, 베이스는 상3성과 8도 이상 간격 가능 등. 이부분은 숙지하셔야 다음으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그 다음음을 어떻게 움직일지를 결정하고 그 음을 놓고, 또 그다음 음을 어떻게 배치할지를 정하고... 이것이 화성풀이의 흐름입니다. 이것이 처음에 너무 어렵다면 베이스와 소프라노는 이미 있고 내성만 배치하는 것을 먼저 연습해볼 수도 있고 그러다가 하3성부, 상3성부 문제풀이를 해보고 그러면서 늘게 됩니다.
할수 있을지 없을지를 고민하기보다 우선 해보고 수정하는 식으로 생각하면 그렇게 어렵게 느껴지지 않습니다.
끝까지 함께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