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양식대로 질문 해 주시면, 보다 빠르고 정확한 답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1. 수강중인 과목 및 난이도(ex, 과목명 [초급+중급])
: 경이로운 음악 이론
2. 주차 및 교시 (교재/강의노트 관련된 질문의 경우 페이지도 적어주세요. ex,2주차 3교시 6분 50초 / 교재 23페이지)
: 기억이 잘 안납니다
3. 질문 내용
:
위는 제 생각대로 그린 A minor 입니다 이렇게 그린 이유는 화음은 근음을 기준으로 3도씩 올려서 만든다고 알고 있었는데 강의자료와는 좀 다르더라구요 강의자료 aminor의 3도 5도에 왜 #이 추가로 붙었는지 궁금합니다
(추가) 혹시 임시표의 성질 때문인가요?
그리고 그림에 <강의자료 A minor>에서 시~레까지 반음이 6개인데 증4도로 보는지 감5도로 보는지 궁금합니다
수강생님
답변 드리겠습니다.
위는 제 생각대로 그린 A minor 입니다 이렇게 그린 이유는 화음은 근음을 기준으로 3도씩 올려서 만든다고 알고 있었는데 강의자료와는 좀 다르더라구요 강의자료 aminor의 3도 5도에 왜 #이 추가로 붙었는지 궁금합니다
-> Aminor에서 수강생님이 '화성단음계'라는 용어를 사용하셨네요. 강의상에도 비슷한 시기에 아마 언급이 될텐데, 이는 임시표의 문제가 아니라 어떤 음계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다릅니다. 보통은 화성 단음계를 사용하기 때문에 A minor의 근음인 라(A)에서 7번째 음인 솔이 반음이 올라가서 솔#이 되는 것입니다.
수직으로 쌓아올리는 것을 생각하기 보다 scale(음계)를 생각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지금 수강생님이 그리신 것은 자연단음계 (아무 임시표도 붙지 않은 상태)입니다. 이것도 틀린 것은 아니나, 화성단음계를 그리고자 한다면 강의자료라고 그리신 것이 맞습니다.
그리고 그림에 <강의자료 A minor>에서 시~레까지 반음이 6개인데 증4도로 보는지 감5도로 보는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