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이론 : 이로운

글쓴이 : 이로운
등록일 : 2022-03-08
조회수 : 24
목록으로

아래 양식대로 질문 해 주시면, 보다 빠르고 정확한 답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1. 수강중인 과목 및 난이도(ex, 과목명 [초급+중급])


2. 주차 및 교시 (교재/강의노트 관련된 질문의 경우 페이지도 적어주세요. ex,2주차 3교시 6분 50초 / 교재 23페이지)


3. 질문 내용

: 화성에서 해결 한다는게 무슨 의미인지 모르겠습니다

지금 경이로운 음악이론 20강 12:44 쯤인데 순차 하행이란것도 궁금합니다




수강생님,


해결이라는 것은 쉽게 말해 부딪히거나, 듣기 불편한 음에서 긴장을 풀어주고 듣기 좋은 음의 구성으로 '진행'하는 것을 말합니다.

영어로도 resolution이라고 표현합니다. 

보통 해결을 위해서는 예비가 필요하고, 쉬운 예로는 C장조에서 V7화음의 경우, 솔-파 의 7음이 부딪히는 음이 됩니다. 그래서 파를 쓰기 위해 직전 화음에서 솔이라는 음을 같은 파트에 예비하고, 솔-파가 들어간 V7화음이 구성되고 이 7음을 완전5도나 3도 계열의 부딪히지 않는 음으로 '해결'해주는 것입니다. 이것은 전문용어적인 개념으로 문제를 해결한다 라는 개념이 사회에서 일반적으로 쓰이는 것과 달라 처음에는 어색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무언가 부딪히는 소리를 해결한다는 것이 음악에서 쓰이는 해결이라는 용어입니다.

순차는 음과 음이 2도씩 이동할 때 쓰이는 용어입니다. 파-솔, 미-파 이렇게 음계안에서 2도씩 이동할 경우, 순차라고 합니다. 순차하행은 음이 밑으로 내려갈때 쓸 수 있겠죠. 솔-파, 미b-레b 이런식으로요. 이럴때 순차하행이라고 합니다.


끝까지 함께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