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이론 : 이로운

글쓴이 : 이로운
등록일 : 2022-03-19
조회수 : 63
목록으로
속7화음 해결에 대해서 질문 있습니다

아래 양식대로 질문 해 주시면, 보다 빠르고 정확한 답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1. 수강중인 과목 및 난이도(ex, 과목명 [초급+중급])


2. 주차 및 교시 (교재/강의노트 관련된 질문의 경우 페이지도 적어주세요. ex,2주차 3교시 6분 50초 / 교재 23페이지)


3. 질문 내용

: 속7화음(솔,시,레,파)에서 다음 화음으로 갈 때 왜 해결이라는 과정이 필요한지 자세한 설명과 보충이 필요합니다


답변 드립니다.


1.시와 파는 증4도 불협화음 관계이기 때문에 다음 화음으로 갈 때 해결이 필요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이때 불협화 화음이 있는 속7화음을 하행순차해결을 하는 과정을 비유하자면..

V-I 로 진행한다 했을때

불협화음정 증4도가 껴있는 속7화음(짠 맛)

하행순차해결을 통해 연결되는 1도화음(단 맛)


짠 맛(속7화음)만 있으면 불쾌한데 단 맛(1도화음)과 조화가 되면서 단 짠 조화처럼 오히려 좋아지는 화음 진행이라 이해하면 맞을까요?


-> 표현을 재미있게 해주셨네요. 


속7화음의 시를 하행순차해결 시켜주는 이유가 


1.전통 화성학은 원래 3화음 체제여서 7화음은 7음 때문에불안정한 음으로 여겨져서 반드시 7음은 해결시켜줘야 한다


그러면 솔,시,레,파 중에서 파는 2도 하행시켜서 

미로 해결 시켜주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 7음은 언급하신대로 2도 하행진행을 하게 됩니다. 그런데 왜 2도'하행'을 해야하는지가 질문인지 '2도'하행을 해야하는지에 대한 것이 질문인지가 조금 모호합니다. 파-미로 가는 것은 시-파 (감5도)를 3도로, 파-시 (증4도)를 6도로 즉, 좀더 편안한 소리로 이동시키기 위함입니다. 전통화성학은 음의 긴장과 이완의 연속이고 어떤 음이 긴장이고 어떤음의 조합이 이완인지는 음정시간에 어느정도 이해하셨을 겁니다. 더하여, 파가 미로 가는 또 한가지 이유는 미는 결국 해결하려는 I도의 (C장조 경우) 3음이기 때문에, 7음에서 I의 중요음인 3음으로 가는 것이 확실한 종지의 느낌을 주기 때문입니다. 


끝까지 함께 해요!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