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양식대로 질문 해 주시면, 보다 빠르고 정확한 답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1. 수강중인 과목 및 난이도(ex, 과목명 [초급+중급])
: 초급
2. 주차 및 교시 (교재/강의노트 관련된 질문의 경우 페이지도 적어주세요. ex,2주차 3교시 6분 50초 / 교재 23페이지)
: 7화음
3. 질문 내용
:
1. 부7화음의 7음을 해결하지 않고 머무를 수 있고, 그때 베이스는 2도 상하행, 머물러야 한다고 배웠습니다.
그런데 이 지연시키는 것을 부7화음만 할 수있는 건가요 아니면 속7의 7음도 할 수 있나요? 그리고 속9의 9음, 속11의 11음도 가능한건가요?
->속7화음의 기본 욕구는 I도로의 이동과 종지의 확인입니다. 그런데, 곡을 분석하다보면 속7화음의 7음도 머무르기도 합니다. 하지만 결국은 차후의 화음에서 이는 해결이 됩니다. 속9,11화음도 궁극적으로 해결되어야 합니다. 만약 해결이 되지 않는다면 비화성음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입니다.
2. 감7화음은 위종지적 해결(6도로 해결)을 할 때 7음이 머무를 수 밖에 없는걸로 압니다. (시 레 파 라 -> 도 미 라)
이 때 지연된 7음을 부7화음처럼 반드시 2도 하행시켜야 하나요 아님 상관없나요? (감7은 혹시 다를까 싶어서요)
-> 위종지적 해결 또한 해결로 봅니다. 반감7화음을 언급하신것이 맞지요? 일반적으로 '해결'을 요하는 것이 맞습니다. 7도의 불완전한
소리 때문입니다. 하지만 반감7같은 경우 감7보다는 덜 부딪히는 소리가 납니다. 이를 해결시 2도 하행의 해결이나 동일음해결의 소리는
비슷할 것입니다. 하지만 반감7-감7-I 이렇게 보통 감7화음(vii07)의 경우는 V의 대리기능을 하기 때문에 해결되는 예시를 많이 볼 것입니다.
끝까지 함께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