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이론 : 이로운

글쓴이 : 이로운
등록일 : 2022-03-31
조회수 : 54
목록으로
비화성음 병행 추가질문


1. 수강중인 과목 및 난이도(ex, 과목명 [초급+중급])

: 초급


2. 주차 및 교시 (교재/강의노트 관련된 질문의 경우 페이지도 적어주세요. ex,2주차 3교시 6분 50초 / 교재 23페이지)

: 비화성음


3. 질문 내용

:

1. 비화성음으로 병행을 피할수 없다고 하셨는데 아래와 같은 상황도 그런가요? 아무래도 다른음정을 거쳐가는것이기도 하고 사진행도 섞여 있기도 해서 약간 의문입니다. 만약 여전히 병행이면 그 이유를 자세하세 설명해주심 감사하겠습니다



->지난 답변과 같이 화성안에서의 5, 8도 병행을 기준으로 했을 때 여전히 병행으로 볼 수 있습니다. 제가 배울적 선생님께서, 특히 각 강박(1,3째박)을 연결시 5도 병행 이 나타나면 중간에 (2,4째박) 다른 도수를 거쳐 가더라도 병행으로 봐야한다는 언급을 하신 적이 있습니다. 이는 다시말해 강박의 두성부 끼리의 병행을 병행으로 볼수있다는 것이고, 이는 음악을 어떻게 보냐에 딴나 견해가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왜 강박간의 것을 병행으로 보냐는 것에 있어서는 소리를 들을때 어떤음에 주목하게되느냐에 관계가있습니다. 전통화성과 그이전의 음악은 다운비트(1,3박)의 강세가 기본이기때문에 나타나는 현상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저는 화성내의 병행을 이야기한다면 당연히 거쳐가는 음이 있더라도 병행으로 볼것입니다. 화성음을 거쳐간다면, 병행을 피할수 있겠지요. 일단 두성부를 적으셨지만 나머지 성부의 자리에 따라 중간의 비화성음들이 화성음이 될수 있을것 입니다. 하지만, 이모든것은 4성부풀이와 실제 곡에서는 또다른 문제가 됩니다. 실제 곡에서는 병행이 용인되는경우가 많습니다. 선율간의 관계를 중시하는 4성부풀이보다, 선율이나 화성중심의 곡이 되면 병행이 곡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게되기 때문입니다. 작품을 쓰시는경우는 크게 관여하지 않아도 될수있지만 4성부풀이에서는 다소 엄격하게

지켜집니다. 



2. 위 예시도 병행이라면 상당히 절망인데 ㄷㄷ 만약 그렇다면 반대로


이처럼 원래 병행일법한것이 비화성음라서 병행이 아니게 되기도 하나요?

->이것이 비화성음과 화성음의 구분의 모호에서 오는 
문제일 것 같은데 미솔시레 는 iii7 의 구성음이됩니다. 

그렇다면 7음은 해결이 필요하고, 화성음이 병행을 이루므로 병행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 직전음도 도미솔이구성음 이므로 나머지 한음이 무엇이냐에 상관없이 화성음이 됩니다. 


끝까지 함께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