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이론 : 이로운

글쓴이 : 이로운
등록일 : 2022-05-19
조회수 : 31
목록으로
동일화음내 46화음 질문

아래 양식대로 질문 해 주시면, 보다 빠르고 정확한 답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1. 수강중인 과목 및 난이도(ex, 과목명 [초급+중급])

: 고급


2. 주차 및 교시 (교재/강의노트 관련된 질문의 경우 페이지도 적어주세요. ex,2주차 3교시 6분 50초 / 교재 23페이지)

부감7화음의 위종지적 해결 220페이지 


3. 질문 내용

: 백병동 예시에 동일화음내 46화음으로 추정되는 음이 나오는데, 조금 이상합니다.

동일화음내 46용법은 첫 강박에 베이스 근음이 나오고, 나머지 박에 (중 강박 포함) 베이스 5음이 나올 수 있잖아요?


제가 알기론 (동일화음내 46용법에 한해서) 한마디 안에서 베이스에 근음이 먼저 등장한 뒤 5음이 나올 수 있는걸로  알았거든요?

근데 예시를 보니 5음이 먼저 등장하네요. (34면 가능하겠지만 46인데..)




1. 혹시 동일화음내 46용법에서 (첫 강박만 아니라면) 베이스에 5음이 먼저 나와도 되는건가요?

2. 그 마디안에 46하나만 달랑 나왔으면 화성감이 약해서 금했겠지만, 뒤에라도 근음 베이스가 나와서 괜찮은건가요?

3. 다른이유가 있는건가요?




수강생님,


I46화음은 강박에서도 5음으로 시작할 수가 있지요? 하지만, 이 부분은 강박도 아니기 때문에 그마저도 어긋나지요.

지난번에 질문하셨던 내용중 시퀀스 (동형진행)에 대해 언급해드린적이 있지요. 표시하신 곳의 세마디 전에도 이와 같은 화성적

동형진행이 등장합니다. 이럴 경우, 사람의 귀는 이 진행이 이미 익숙하기 때문에 한번 더 나오게 되도 허용이 됩니다. 그렇다면

왜 앞의 진행도 34와 46이 등장하냐는 의문이 들겁니다. 이것에 대해 교재의 해답은 없지만, 선행화음 자체가 불완전한 감6화음이고 이를 해결하는

음이 원래 '시레파#'였지요. 그렇기 때문에 3도 아래의 V입장에서는 46이지만, vii로 본다면 3음이 베이스에 위치하고있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사실 원조에 대한 화성감 자체를 흐리고 있기 때문에 더 가능한 지점이기도 합니다. 항상 이론이라는 것은 먼저 좋은 소리를 찾는 작곡가들의 노력이 뒤늦게 집대성된 것이라는 것을 기억하세요.


끝까지 함께 해요!